본문바로가기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
수학동아 2021.09.17 22:14 조회 698

여러분 안녕하세요.

2021년 10월호에 실린 게임 디자인 싱킹에 들어간 작은 이벤트를 갖고 왔습니다.

 

플레이어가 게임을 더 오래 즐기려면 어떻게해야할까?

게임기획자와 개발자는 이런 고민으로 밤을 지새운 답니다.

 

이번 호에서는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을 주제로 준비해봤어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은 몰입감을 높일 수 있도록 게임을 만들기 위해 콘텐츠를 여러각도로 시험해보는 방법이에요. 

이를 이용해 지형을 생성하는 스크래치 코드에 대한 내용을 준비해봤으니 확인해보세요! 

 

여러분도 직접 스크래치 코드를 이용해 자동으로 지형 생성해보고 그 결과물을 비밀댓글로 소개해주세요.

글이나 사진으로 내용을 설명하고 이름과 주소, 연락처를 함께 남기면 수학동아가 이색 작품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게임 콘텐츠가 성공하려면 많은 플레이어가 게임을 오랫동안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플레이어의 몰입도 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플레이어가 게임에 몰입하는 시간이 더 짧습니다.

 

이 때문에 게임 개발 회사는 더 많은 플레이어가 오랫동안 몰입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게임 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게임 콘텐츠의 난이도가 플레이어가 원하는 수준보다 너무 쉽거나 어려우면 몰입도는 금세 떨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게임 개발 회사는 알맞은 난이도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게임 지형을 생성한 다음, 플레이어가 게임 콘텐츠 속 미션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노력을 시뮬레이션하고 있습니다.

 

이런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하고 그 결과를 예측해 게임 콘텐츠 개발에 반영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그 방법을 바로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이라 부릅니다. 이는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컴퓨터가 미리 정해진 규칙을 기반으로 게임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는 기법입니다.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을 이용하면 사람이 손으로 일일이 하기 어려운 복잡한 지형의 게임 단계를 매우 빨리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스크래치 코드로 절차적 콘텐츠 생성 방식을 적용한 2차원 게임 지형을 함께 만들어 볼까요?

 

 

먼저 게임이 실행되면 지형의 조건(변수)을 정하고, 지형을 그리기 위한 펜 툴을 초기화한 뒤 지형을 생성하는 함수를 호출합니다. 위 박스의 스크래치 코드 ①처럼 화면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타일의 폭(20)만큼씩 이동하면서 세로 지형을 한 줄씩 그리도록 설정합니다. 세로 지형은 화면 아래부터 위쪽으로 타일의 높이 간격으로 정해진 개수만큼 이동하면서 타일을 그립니다. 화면에 타일을 그리는 방식은 펜 툴의 스탬프 기능을 이용합니다. 또 스크래치 코드 ②, ③에서는 스탬프 명령어를 사용해 지형 타일을 생성 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펜 굵기를 타일 폭과 같게 해 세로 방향으로 선을 그려서 세로 지형을 만들고 오른쪽으로 타일 폭만큼 계속 이동하면서 전체 지형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위 박스 속 QR 코드를 스캔하면 스크래치 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스크래치 코드에는 펜 굵기를 변경해 지형을 생성하는 부분도 있으니, 스탬프 명령어를 사용한 결과(오른쪽 그림)와 생성 속도를 비교해 보기 바랍니다. 생성한 지형에 캐릭터를 배치 하고 이동하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능을 추가해 직접 코드를 수정해 보세요.

 

 

첫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 보세요!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