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수 x를 가지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x를 가지고 만든 등식을 비완전한 식이라고 부른다
2. 비완전한 식은 오직 x 하나만을 미지수로 가지고 있지 않으며, 2개에서 4개까지의 미지수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3. 비완전한 식은 고차방정식이 아니며, 이차나 일차방정식이다
4. 상수항의 최대 크기는 100,, 최소 크기는 -100이다
5. 비완전한 식이 완전한 식이 되려면 다음 조건들을 포함하게 변해야 한다
- 미지수가 2개 이하여야 한다
- 무조건 일차방정식이여야 한다
- 어떤 상수항의 값이 50을 넘으면 안되고 -50 이하면 안된다
6. 비완전한 식의 계수를 1씩 줄이거나 늘리는것 아니면 상수항의 값을 1씩 줄이거나 늘리는것을 변화 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다음의 값을 구하여라
1)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의 개수는?
2) 가장 큰 변화의 개수와 가장 적은 변화의 개수는 각각 몇개인가?
3) 어떠한 조건에서 변화를 가장 많이 해야되고 가장 변화를 적게 해야하는가?
단, 이 식의 꼴은 (계수)x + (상수항)=0, (계수)x^2 + (계수)x + (상수항)=0 이다
그리고 한번 어떤 계수나 상수항에 대해 변화 증가로 하였으면 다음에도 1을 증가해야하고, 반대로도 그래야 한다
좋아요
1
글쎄요
0
어려워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