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주로 MBTI로 성격과 취향을 결정하곤 한다. 그중에서 계획을 잘 짜는 규칙적인 사람들도 포함된다.
1. 규칙적인 생활을 불규칙적으로 한다면, 이 생활은 규칙적일까 불규칙적일까?
2. 불규칙적인 생활을 규칙적으로 한다면, 이 생활은 규칙적일까 불규칙적일까?
(모순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정의
혹은 재정의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되도록이면 모두가 납득할만한 정의로...)
2~3명의 사람들(저포함)이 인정할만한 논리&의견이면 해결을 드립니다!(변경 가능)
좋아요
4
글쎄요
0
어려워요
1
풀라고 하면 풀순 있겠지만 재밌고 창의적인 자신만의 생각으로 문제를 풀수있는 진짜 '함풀문'이네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문제인 것 같아서 공개댓글로 하겠습니다
규칙적- 정해진 계휙에 따르는 것(확률 X)
불규칙적- 규칙적인 것이 아닌 것
이라고 정의 한다면,
1. 정해진 계휙을 임의로 하는 것
2. 임의로 하는 생활을 정해진 계휙에 따라 하는 것
으로 나타낼 수 있겠는데,
여기서 규칙적인 생활이라는 것은 모든 것이 정해진 계휙에 따라 있어야 하므로 그 안에 획률 같은 건 존재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1번은 모순이 발생
2번은 임의의 행동을 하는데 그것을 어떤 정해진 계휙에 따라 해야 하는데, 불규칙적인 생활이라 함은 100% 랜덤이 아니므로 그 속에 규칙적인 것이 들어가도 됩니다
그래서 2번의 경우에는 불규칙적인 생활이라 볼 수 있을듯 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규칙적인 것과 불규칙적인 것을 기반으로 한 생각입니다 :)
오 코스피님은 확률로 생각하셨군요!
저도 문제 출제자다만은 문제를 푸는 입장과 같기에 말 하나 올리겠습니다.
확률 이라는 것은 애초부터 삶에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정해진 일은 정해진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요.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불규칙적이다는 것은 규칙적이지 않다는 것인데 그것이 어떻게 임의의 라는 단어로 간다는 것은 잘 모르겠습니다.
불규칙적인 것은 규칙적으로 한다면 규칙적이지 않은 것을 규칙적으로 한다는 것이기에 그것을 어떻게 논한지는 확실한 논리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러셀의 역설 같은 문제네요! 문제에 대해 한 생각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cosPi님과 같은 이유로 공개댓글로 할게요.1번과 2번은 모두 규칙적이지 않은 생활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규칙적이라고 할 수는 없는 거 같아요.
저는 1번은 규칙적인 생활을 '불규칙' 적으로 하니 불규칙 적인거고(예: 33323828249274333 3이 3번 이라는 상황이 들어가 있지만, 전체로 봤을땐 규칙적이라고 할수가 없다)
2번은 불규칙적 상황이 '규칙적' 으로 반복되니(예: 4476144761 44761이라는 상황이 규칙적으로 반복된다)규칙적 인것 같습니다
오 굉장히 좋은 논리입니다! 하지만.. 생활과 수가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이 문제는 논리를 엄격하게 제시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정의는 나름대로기 마련입니다.
생활 에 대한 정의를 한번 정의해주시는 것은 어떨까요? 한자? 님과 다른 사람들 모두에게도 도움이 분명 될 것입니다!
똑같이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횟수가 불규칙적이면 일주일 혹은 한달이라는 긴 기간으로 봤을 떄 절때 규칙적이지 않습니다(1번째 문제)
2번째도 똑같이 규칙적,안함,규칙적...등과 같은 불규칙적인 생활을 규칙적이게 반복하면 규칙이 되는 것이죠!
참고로 저는 수현입니다:D
다른사람이 잘못 생각한걸 지적하면 어떨까요? 다른사람이 잘못한걸 지적해주면 지적 당하시는(?) 분도 더 잘 생각할수 있고 지적하시는 분도 다른 분이 잘못한걸 찾고 고치는 과정에서 더 좋은 답을 유도할수 있으니 일석이조네요(폴리매쓰 문제 같게요)
그러니까 불규칙적인 생활을 규칙적으로 한다면 규칙적인 삶 내부에는 불규칙적인 삶이 있으므로 불규칙적인 삶이고 규칙적인 생활을 불규칙적으로 한다면 규칙적인 삶을 사는 것이 불규칙하므로 이 경우도 불규칙적이라고 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공개댓글로 작성합니다.
1. 알 수 없습니다.
2. 불규칙적입니다.
논리: '불규칙적이다'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위시간 t에서 작업 a~z를 할 수 있다고 정의하겠습니다.(작업이 26개란 뜻은 아닙니다) 각 단위시간은 두개 이상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이때 작업 중 하나인 k에 대하여 모든 k 다음의 작업이 k'으로 같다면 'k'는 t에서 규칙적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나는 밥을 언제 먹던간에 밥을 먹은 직후 양치를 한다면 '나는 규칙적으로 양치한다' 라고 하겠습니다)
또 t의 모든 작업이 t에서 규칙적이면, t는 규칙적인 생활입니다.
t1, t2, ... 등 연속된 여러 단위시간이 있습니다. 이 단위시간들의 합을 T라고 합시다. 1번 문제에서 T의 작업들에는 연속성이 존재하지 않아야 합니다.(이는 T의 규칙성과 구분하겠습니다)
이중 tx는 규칙적인 생활이라고 합시다. 그러면 T 속의 tx의 다음 작업은 모두 같아서는 안됩니다. 그러므로 tx1의 다음 작업이 ty라면, tx2의 다음 작업은 ty'입니다.
이때 ty, ty'은 단위시간이므로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만약 ty와 ty'의 첫 번째 작업이 a로 같다면, T는 규칙적인 생활이 됩니다.
그러나 두 단위시간의 첫번째 작업이 다르다면, T는 불규칙적인 생활이 됩니다.
그러므로 T의 규칙성은 알 수 없습니다.
2번 문제에서, tm들은 모두 불규칙적인 생활입니다. 그러므로 T는 불규칙적인 생활이 됩니다.(각 작업 사이의 규칙성이 이미 깨짐)
+ 1번 문제에서 어떤 작업도 그 작업에 대한 그 다음 작업이 같으므로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단위시간 t의 작업이 같아야 합니다. 즉, 불규칙적으로 규칙적인 단위시간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답은 '알 수 없다'가 아닌 '불규칙적이다'가 되겠네요.
+ 이것도 틀렸네요. 첫 단위시간과 마지막 단위시간을 제외한 작업은 같아야 하는 것이 맞지만, 첫 작업과 마지막 작업에는 예외가 존재합니다.
예시: a=12345, b=345, c=123
T=b-a-a-a-a-c이면
T의 모든 작업이 규칙적이므로 T는 규칙적인 생활이 되나, 각 단위시간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있으므로
원래 답인 '알 수 없다' 가 맞겠네요.
동의합니다.
거의 완벽합니다! 하지만, 규칙적이다 라는 속성이 보존되는지에 대해서도 서술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불규칙적인 생활이라는 것은 생활을 불규칙적으로 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그러니까, 일정한 행동의 마디가 반복될 수가 없는 거죠. 앞서 1번의 규칙적인 생활을 불규칙적으로 한다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 불가능합니다. 2번의 불규칙적인 생활을 규칙적으로 한다는 것도 같은 이유로, 규칙적인 생활은 생활을 불규칙적으로 한다는 것 (일정한 행동의 마디가 반복된다는 것) 을 전제로 하기에 가능할 수가 없습니다. 반복되는 마디를 동시에 반복되지 않게 한다, 반복되지 않는 마디를 동시에 반복되게 한다, 로 풀어쓰면 완벽한 모순이 되니까요. 언어적인 의미에서 볼 때 불규칙한 생활이나 규칙적인 생활은 불규칙과 규칙을 전제로 하기에 그것이 규칙적인 생활이나 불규칙적인 생활로 바뀌는 동시에 후의 상황이 전적으로 옳은 것이 되면서 전의 상황은 틀린 것이 될 듯 싶은데요, '옳은 틀린 것' 이 불가능한 것처럼요. 따라서 애초에 모순을 기반으로 하는 불규칙한 생활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 규칙적인 생활을 불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가능할 수 없다고 봅니다. 불규칙과 규칙의 변화를 놓고 볼 때, 불규칙적인 생활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과 규칙적인 생활을 불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태초에 불가능하며, 상황이 바뀌는 동시에 전자의 상황은 그른 것이 되며 후자의 상황이 옳은 것이 되기 때문이 모순으로부터의 불규칙적인 규칙 혹은 규칙적인 불규칙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불규칙적인 생활을 규칙적으로 할 때 규칙적인 것 (규칙적인 생활을 불규칙적으로 할 때 불규칙적인 것) 이 아니라, 이는 완전히 불가능하므로, 불규칙적인 생활이 규칙적인 생활 (규칙적인 생활이 불규칙적인 생활) 로 바뀔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