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 2050년, 인간들은 지구의 환경문제를 더욱 잘 연구하기 위해 반지름 10m의 "작은 지구"를 만들었다.
"작은 지구"는 실제 지구와 같이 표면의 70%가 바다, 나머지 30%가 육지로 이루어져있으며, 바다의 깊이는 1m로 균일하다.
또한 실제처럼 "작은 지구"를 구현하여 전체 물의 97%는 해수(바닷물), 2%는 빙하, 나머지 1%가 지하수, 강,호수 등 실제로 마실 수 있는 물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작은 지구"에 있는 마실 수 있는 물의 부피를 구하여라.
(2) "작은 지구"에 "작은 인간" 5명을 투입했다. "작은 인간"은 평균적인 성인남성의 1/50 만큼의 부피를 가진다.
평균적으로 성인남성은 하루에 2L, 즉 0.002 m3 의 물을 마시며, 마시는 물의 양은 부피에 비례한다고 한다.
이때 "작은 인간" 5명이 "작은 지구"에 있는 물을 모두 마셔 더이상 마실 물이 없게 되려면 얼마나 걸릴까?
풀이과정 필수.
계산이 듬뿍 들어간 문제입니다^^
좋아요
0
글쎄요
0
어려워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