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낮은문제가 서로다른사람의 문제잖아요 그러면 학년에따라, 또는 선행이나 수준에따라 문제를 나누는 것을하는거어떨까요?
또 학년이 높을수록 포인트는 더들어가고, 낮을수록 포인트는 학년이 높은것보다 적게요
어떤가요?
그럼 나이 어린 분들이 억울하지 않을까요?
자기가 더 적게 살아서 더 적게 배웠는데(일반적으로)그냥 늦게 태어났다는 이유로 포인트 적게 받는 것 아닌가요...
그럼 결국에는 포인트를 많이 모으려면 공부를 열심히 하자 가 결론이네요
정.말.로.좋.은.의.견.이.에.요
폴매 자체가 여러 학년의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려고 만든 건데
구분하면 만든 의도를 파괴할 것 같은데요
Severity: Warning
Message: mkdir(): Permission denied
Filename: libraries/Common.php
Line Number: 202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libraries/Common.php
Line: 202
Function: mkdi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libraries/Common.php
Line: 236
Function: getLatexImg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views/ver3/inc/view_comment_list.php
Line: 90
Function: parseLatexImg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views/ver3/inc/view.php
Line: 343
Function: view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Contents.php
Line: 558
Function: view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Severity: Warning
Message: file_put_contents(/DATA/upload/polymath/latex/7f210d5d14578e2bf2b5f22e604fb23a.gif):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Filename: libraries/Common.php
Line Number: 213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libraries/Common.php
Line: 213
Function: file_put_contents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libraries/Common.php
Line: 236
Function: getLatexImg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views/ver3/inc/view_comment_list.php
Line: 90
Function: parseLatexImg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views/ver3/inc/view.php
Line: 343
Function: view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Contents.php
Line: 558
Function: view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학력보다는 문제를 만드는 데 사용한 시간과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사실 마음만 먹으면 어려운 문제를 출제할 수 있습니다. 그냥 고등 올림피아드 문제 하나 복붙하면 되죠. 하지만, 수준이 높으므로 중학교 수준에서 엄청 노력해서 만든 문제보다 더 포인트를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저는 질이 낮은 문제를 난이도로 구별하는 것이 아닌 문제를 출제하는 데 걸린 노력을 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나 성의 있게 문제를 내는가가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성의의 기준을 물으신다면 저는 2가지를 제시하겠습니다.
1. 문제를 만드는 데 걸린 시간. 시간이야 말로 노력의 가장 명확한 수치겠죠
2. 시간이 적더라도 갑자기 떠올라서 좋은 문제를 낼 수 있겠죠. 그러므로 문제의 참신함. 얼마나 새로운가도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례로 계속 같은 문제는 매스펀에 야러 번 올라왔습니다. 많은 회원분들이 이미 풀어봤을텐데 또 풀 의미가 없죠.
이런 거는 사람마다 성의의 기준이 다르므로 하나의 예지만 저는 문제의 난이도만으로 구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와 정확히 같은 의견입니다.
갑자기 끼어들어서 죄송하지만 노력의 정도를 보려면 일정 시간 동안 올릴 수 있는 문제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도 좋겠네요. 예를 들어 하루에 2개만 올릴 수 있다던가 하는 식으로요.
사실 예시로 저처럼 문제 대충대충 만드는 사람과 아인수타인님처럼 치는 것만 30분 넘게 걸릴만한 문제를 내는 사람이 포인트를 같게 받는 것은 불공평하다를 넣으려다가 말았어요 ㅋㅋ
종익님도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오 좋네요
p.s. 성의의 기준 3가지를 제시한다고 하셨는데
하긴 단순문제를 내서 똑같이 포인트를 받는게 좀... 저도 좀더 어려운문제를 내고싶은데 포인트가 똑같에서 약간그러요
종익님 그런데요 하루 2개 문제는 저한테 불리합니다
저 같은 사람은 폴리매스 할 시간이 매우 적기 때문에 문제를 생각날 때마다 노트에 적어 놓고 한 번에 도배를 하거든요
무끝남님 말처럼 난이도로 구별하면 전체적인 수준이 올라가서 좋겠지만 어떤분들은 다른 어려운 문제를 그대로 퍼올까봐요... (사실 무끝남님 의견은 공부를 시키려는 아주 바람직한(?) 정책 ㅋㅋ)
ps: 종이신도님 오류 제보 감사합니다. ㅋㅋ 사실 저도 쓰고 나서 2가지인데 3가지라 해서 바꿨어요 ㅋㅋ
원래 저도 이글을 올리면서 약간 허무한 기분이 들기도했어요 왠지했더니 이게 빠졌었
무끝남님께
그러게요 저 같은 사람하고 무끝남님이 같은 포인트를 받는 것은 좀 억울하시죠 ㅠㅠ
깁님께
사실 저 시간 부분은 문제를 올릴 때 만든 시간을 쓰라고 할까? 합니다. 만약 거짓말을 할 수도 있으나 1시간동안 1+1같은 문제를 만들지는 않았을테니요
(P.S.오랜만입니다.(아닌가?))
21세기님은 문제수준꽤있던 편이던데요
전여백님 문제풀러가겠습니다(ㅋ)
저는 문제 수준이 기가 막히게 낮습니다... (여백님 문제를 ㄷㄷ 핑순이의 단어문젠가? 그거 한 번 풀어보세요)
핑돌이 문제는 리만가설보다 강한 추측을 증명하는 거라 풀면 그냥 필즈상 직행 수준의 문제인데요... ㅋㅋ
아는 게 많다고 수학 잘하는 거 아닙니다. 아는 범위 내에서 얼마나 응용하고 어려운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지가 실력이죠. 단순히 필요한 기본 지식이 많은 문제라고 포인트 많이 주는건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예시로 엡실론-델타 논법 예제(대학 미적분학)랑 초6 성대경시 킬러 문제랑 뭐가 더 어렵다고 생각하시나요? 당연히 후자죠. 학년으로 나눠서 수준을 판단하는 것도 말이 안 되고 애초에 수학 실력에 따라 포인트를 다르게 지급한다는 생각부터가 수학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차별입니다.
그리고 포인트를 지급한다면 매우 복잡해질테고
처음 들어오는 사람들이 예전보다 더 방황하실수도 있지 않을까요?
학년으로 나눈다는게.. 좀 안 좋은게
기본문제랑 심화문제를 애초에 학년이라는 틀에 넣어야 하니깐
심화든 기본이든 결국엔 문제 만드는 시간은 차이나지만 같게 받기도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