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올려서 죄송해요ㅠㅠ 내일이 과제제출일인데 아무리 찾아봐도 모르겠어요ㅠ (초등학생인데 너무한 듯ㅠㅠ) 도와주세요!!! 링크를 주셔도 좋고 직접 알려주셔도 돼요! 영재교육원 수료하려면 과제를 성실히해야돼서ㅠ
1. 각 정의에 맞는 실생활에서의 산 또는 염기의 예를 찾아보자.
(1) 아레니우스 정의에 의한 산과 염기의 예를 들어보자.
|
(2) 브뢴스테드-로이의 정의에 의한 산과 염기의 예를 들어보자.
|
(3) 루이스 산-염기 정의에 해당하는 예를 실생활에서 찾아보자.
|
(4) 물 속에서의 위의 산 염기 예들을 이용해서 해리 반응식으로 쓰시오.
또한 짝산-짝염기 관계를 규명하시오.
|
2. 실생활에서 쓰이는 산과 염기의 특성 이해하기
(1) 산 |
|
(2) 염기 |
|
3. 실생활에서의 산-염기 중화반응의 예를 들어보자.
|
1.네이버지식인뒤져보기
2. 지식인 물어보고
내공 100넘게 걸기
3. 중3 화학 강의 같은 거 찾아 듣기
ebs나 mbest같은 사이트
(1) 아레니우스 정의는
산: 물에 녹았을 때 수소 이온을 내놓는 물질
염기: " " 수산화 " "
입니다. 여기에 맞는 산, 염기의 예를 들면 염화 수소 수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있겠네요.
(2). 브뢴스테드-로이의 정의는
산: 수소 이온을 내놓는 물질
염기: " " 빼앗는 물질
입니다. 여기에선 아레니우스 정의에서 산, 염기에 포함시키지 못했던 기체 염화 수소와 암모니아도 산, 염기에 포함됩니다.
(3) 루이스의 정의는
산: 화학 반응에서 비공유 전자쌍을 받는 물질
염기: " " 주는 물질
입니다. 이 정의가 제일 넓은 범위의 정의인데, 브뢴스테드-로이의 정의에서 설명해지 못했던 삼붕화불소, 암모니아도 설명됩니다. (암모니아는 2번에서도 설명 가능했지만 삼붕화불소는 그러지 못하죠)
(4) 위 정의들에서 화학 반응할 때 수소 이온/비공유 전자쌍을 주는/받는 물질은 짝산, 그 반대의 물질은 짝염기입니다.
2. 음... 여러 특성이 있겠지만 제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산은 대체로 신맛, 염기는 대체로 쓴맛이 난다는 거네요(다 그런 건 아니지만).
3. 많지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생선의 비린내가 염기성이기 때문에 레몬즙으로 중화시켜 비린내를 잡는 것입니다.
지난번에 답글로 링크 달았는데 확인해보셨나요? 글고 이거 그냥 산염기라고 구글에 치면 다 나오는 내용이라 금방 찾을텐데요...
그래도 과학은 조사하면 다 나오잖아요..ㅠㅠ
수학은 찾아봐도 잘 안 나오고, 며칠도 생각하고... 머리에서 난리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