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수학을 주제로 떠들어 보세요!
[수학 정보] 불멸하는 방법은?
수학동아 2020.04.24 00:47 조회 1357

“불멸이란 어쩌면 허황한 말일 수 있지만, 수학자만큼 불멸의 가능성이 높은 존재도 없을 것이다.”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

 

20세기 영국의 저명한 수학자 하디가 그의 저서 ‘어느 수학자의 변명’에 남긴 말입니다. 실제로 많은 수학자는 시대를 초월해 역사에 그 이름을 남기는데요. 아마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수학자 중 한 명일 피타고라스는 기원전 6세기 후반 정도에 활동했다는 것 말고 그의 정확한 생애나 행적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피타고라스 정리가 이 사람의 증명인지도 명확하지 않죠. 하지만 피타고라스 정리는 몇천 년이 지난 지금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아마 인류 역사가 계속되는 한 피타고라스 정리도 ‘불멸’ 하지 않을까요?

 

 

이렇게 불멸하려면 증명을 인정받아야 하는데요, 수학자의 연구가 인정받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알아볼게요!

 

5월호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를 읽고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재밌는 질문은 6월호에서 답해드릴게요! 

 

기사 바로 읽기!(클릭해 주세요)

 

  •  
    은총알 Lv.11 2020.04.24 09:07

    이렇게 증명하면 논문을 어디에 올리거나 보내야 하나요? 그냥 궁금증입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조가현 편집장 Lv.15 2020.04.24 16:36

    요즘엔 아카이브라(arxiv)라는 온라인 논문 공개 사이트에 먼저 발표합니다. 그리고 수학 관련 학술지 여러곳에 논문을 보내죠. 학술지에서 논문을 검토해 실리기까지 짧게는 한두달에서 길게는 몇 년씩 걸리기 때문에 인터넷에 내가 이런 논문을 썼다고 발표하는 겁니다. 그래야 나중에 우선권 분쟁에서 자유로울 수 있거든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은총알 Lv.11 2020.04.25 02:31

      감사합니다!

      좋아요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