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이 아래 조건대로 이름을 짓는다고 하면, 이 사람의 이름을 찍어서 맞힐 확률은 얼마일까?
<조건>
1. 이 사람은 한국인이라서 이름도 한국어로 짓는다.
2. 이 사람의 이름은 2~4글자이다.
3. 이 사람의 성은 부모님 성이 아니어도 괜찮고, 없는 성(ex: '궹'씨)을 만들어도 된다.
4. 이 사람의 이름은 아주 괴상한 이름(ex: '쀍칡뀅')이어도 괜찮다.
5. 옛한글(아래아, 옛이응, 여린히읗, 반치음)은 사용 불가능하다.
6. 부모님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가능한 글자를 임의로 선택해서 짓는다. (즉, 이떤 이름이든 지을 확률이 똑같다.)
좋아요
0
글쎄요
0
어려워요
0
한글맞춤법에 따르면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총 19개 이고
모음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ㅔ, ㅒ, ㅖ, ㅢ, ㅞ, ㅚ, ㅙ, ㅟ, ㅝ, ㅘ 총 21개 이다.
그러나 ㄺ, ㄻ 과 같은 쌍자음이 있기 때문에
ㄳ, ㄵ, ㄶ, ㄺ, ㄻ, ㄽ, ㄼ, ㄾ, ㄿ, ㅀ, ㅄ 총 11개가 있다.
그러므로 초성 19개, 중성 21, 종성 31개(없는 것 포함)해서 한 글자의 개수는 총
19 * 21 * 31 = 12369가지이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에는 2글자, 3글자, 4글자의 경우를 나눠서 생각해야 되기 때문에
2글자인 경우는 151992161가지, 3글자인 경우는 189236003949가지, 4글자인 경우는 23406601327449921가지 이므로 이 모든 경우의 수를 더하면 총 23406790715446031가지가 나오므로, 이 사람의 이름을 '찍어서' 맞힐 확률은
23406790715446031 분의 1 입니다.
그러나 한글 문자표에 따르면 한글자모가 총 354가지가 있으므로, 만약 옛 한글까지 포함을 시킨다면 확률이 매우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