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수학을 주제로 떠들어 보세요!
[잡담] 톨키니스트
21세기오일러 2020.02.26 08:28 조회 1345

혹시 여러분 중 톨키니스트가 계신가요? 혹시 톨키니스트가 뭔지라도 아시는 분은 있나요? 없다면 제가 나중에 아주 길고 긴 대하소설 같은 톨킨에 관한 글을 올리게요. (단 한 명의 톨키니스트라도 더 양성하기 위해서요.)

  •  
    giplee Lv.8 2020.02.26 08:32

    전 모릅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6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08:33

      ㅠㅠ

      좋아요0
    •  
      giplee Lv.8 2020.02.26 08:34

      죄송...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08:35

      괜찮아요. 어쩌피 알 거라고 기대를 않했어요. (제가 나중에 알게 만들어 드리죠)

      좋아요0
    •  
      giplee Lv.8 2020.02.26 08:37

      감사합니다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08:39

      제가 더 감사해요. (톨킨에 관해 단 한 명에게라도 더 알리는게 제 목표입니다. 제가 그만큼 극성 팬이라서요.)

      좋아요0
    •  
      giplee Lv.8 2020.02.26 08:42

      아 그럼 저도 다음범에 스타워즈의 내용을 달달 외우도록 해 드리죠. 감사해하진 않으셔도 되요 ㅎㅎ(진실로 받아들이진 않겠죠?)

      좋아요0
  •  
    아인수타인 Lv.12 2020.02.26 08:39

    저도 모르는데...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이성적인 인간 Lv.5 2020.02.26 08:41

    반지의제왕 슨 사라미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1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08:42

      넵 어느 정도 아세요?

      좋아요0
    •  
      giplee Lv.8 2020.02.26 08:44

      아아아

      반지의 제왕 들어보긴 했는데 내용을 몰라요

      좋아요0
    •  
      아인수타인 Lv.12 2020.02.26 08:45

      아 저도 제목은 들어봤어요.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08:45

      제가 달달 외게 해드리지요ㅎㅎ 고마워하지는 않아도 되요

      좋아요0
    •  
      아인수타인 Lv.12 2020.02.26 08:46

      근데 슨 사라미는 반지의제왕에 나오는 인물인가요? 아님 저자인가요?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08:46

      ㅎㅎ 쓴 사람일거에요. 오타인 것 같아요.

      좋아요0
    •  
      이성적인 인간 Lv.5 2020.02.26 08:54

      쓴사람 입니다. ㅋㅋ 키보드 위에 문제집을 올려놔서 오타가 났네요 그런데 전 비문학만 봐서 (논픽션) 판타지소설은 별로 안 보기 떄문에 반지의 제왕은 소문으로만 들어봤습니다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08:55

      아아 슬픈 일이네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 소설을 안 읽다니 저는 판타지 광팬이라서요. 하지만 반지의 제왕을 읽어보시면 판타지를 좋아하시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다짜고짜 반지의 제왕을 읽지는 마세요. 그 전에 읽어야 할 책이 있거든요.

      좋아요0
    •  
      아인수타인 Lv.12 2020.02.26 08:57

      저도 거의 비문학만 봐서...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09:00

      비문학을 좋아하던 문학을 좋아하던 반지의 제왕은 읽어야합니다. 에루께서 반지의 제왕의 재미를 깨닫게 해주시길. 제가 내일 방대한 양의 글응 올리겠습니다

      좋아요0
    •  
      이성적인 인간 Lv.5 2020.02.26 09:02

      읽어보고 재밌으면 입덕 할게요 참고로 현재 덕질 하는 사랍 없습니다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02

    저 반지의 제왕 광팬입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5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06

      오옷 반가워요. 호빗도 읽으셨나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23

      네 그것도 영화로 한번 책으로 한 번 봤죠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26

      근데 톨키니스트가 뭐죠?(J.r.r 톨킨으로 알고 있는데...)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30

      존 로널드 로웰 톨킨의 팬을 그렇게 부릅니다.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31

      아 그렇굼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03

    지금까지 영화로 두 번 , 책으로 세 번 봤어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5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06

      저는 책으로만 20번 가량 읽었어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23

      오 언제부터 읽으셨나요?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29

      2018년 에 반지의 제왕은 처음 읽었습니다.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29

      실마릴리온도 보셨나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29

      2년만에 20번을 읽으셨나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30

      실마릴리온은 보다가 그만뒀는데 계속 안보디가... 어쨌든 안 봤습니다.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31

      넵 2년동안 반지의 제왕은 20번정도 호빗도 그정도 실마릴리온은 10번 정도 후린의 아이들은 5번 정도 읽었어요.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31

      실마릴리온이 딱딱하기는 하죠. 그런데 엄청 재미있어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32

      후린의 아이들이 뭐죠?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32

      아 그럼 한 번 다시 읽어볼께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33

      근데 전자책으로 읽었는데 아빠가 어디 놔두셨는지 몰라서... 찾아보겠습닏.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34

      실마릴리온이 초반이 진짜 노 잼이에요. 그런데 페아노르가 반역하고 나면 재미있어져요. 발라퀜타까지는 거의 설명글수준이고요. 후린의 아이들은 실마릴리온에서 가장 길고 슬픈 노래인 나른 이 후린을 소설로 쓴 것입니다. 실마릴리온에도 그 이야기가 축약본으로 나와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36

      아 저가 반역한것 까지는 안 읽어서 그랬나봐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17:37

      아 감사합니다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38

      어디까지 읽으셨나요? (참고로 반지의 제왕으로 톨키니스트가 되었다가 실마릴리온을 보고 무너진 사람들이 믾아요. 실마릴리온이 쓰인 형식이 다른 소설책과 좀 달라서)

      좋아요0
  •  
    쪼민이 Lv.8 2020.02.26 17:53

    댓글이 엄청 많네요ㅎㅎ 저도 모르는데 쭉 읽어보니 반지의 제왕과 관련된 내용인 것 같네요?

    저는 해리포터는 읽었는데 반지의 제왕은 안 읽었어요.

    그거 시리즈가 있나요? 몇 권 까지 있어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2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56

      반지의 제왕은 단 1개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방대란 분량 때문에 많은 출판사가 3개 혹은 7개로 나눠서 출판합니다.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7:58

      하지만 이야기는 반지의 제왕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반지의 제왕의 이전작인 호빗, 반지의 제왕 이전일을 다루는 실마릴리온과 후린의 아이들 정도가 한글로 번역됬지만 UF와 HOME로 부르는 방대한 책들이 외국에는 있습니다.(그러니까 가운데땅 유니버스 정도가 되겠네요.)

      좋아요0
  •  
    mathwizard Lv.7 2020.02.26 18:13

    21세기오일러님의 반지의 제왕에 대한 팬심과 저의 해리포터에 대한 팬심이 비슷하네요.ㅎㅎ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4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18:16

      네 그럼데 한국에서는 해리포터만큼 반지의 제왕이 안 유명해서ㅠㅠ 조앤 롤링도 반지의 제왕 팬이라던데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20:20

      아, 조앤 롤링이 반지의 제왕 팬 인가요?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21:15

      네 그래서 추측컨대 해리포터도 반지의 제왕을 영향을 조금 받았을 거에요. ( 비록 롤링의 작가적 성향이 특이하지만)

      좋아요0
    •  
      mathwizard Lv.7 2020.02.26 22:17

      팬이었다면 반지의 제왕 영향을 받았겠네요.

      좋아요0
  •  
    은총알 Lv.11 2020.02.26 22:02

    마이 프레셔스

    그건가요 반지의 제왕이?

    어떤 순서로 어떤 책들을 읽어야 할까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3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6 22:07

      네 맞아요. 읽으실계획이 있으시다면 읽는 순서를 추천해드리지요.

      좋아요0
    •  
      † J.H † Lv.9 2020.02.26 22:11

      꼭 읽어보세요!!.(오일러 님이 추천하신다면요...)

      좋아요0
    •  
      은총알 Lv.11 2020.02.27 06:04

      읽을 계획이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빌릴려고 합니다.

      어떤 순서로 읽으면 좋을까요?

      좋아요0
  •  
    아인수타인 Lv.12 2020.02.27 04:28

    수학동아님이 쓰신 글 외에 댓글이 가장 많은 잡담 글로 기네스에 등재되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2
    •  
      쪼민이 Lv.8 2020.02.27 05:27

      ㅋㅋㅋㅋㅋㅋㅋㅋ 21세기 오일러님이 단 대댓글이 많아서...ㅋㅋㅋㅋ

      좋아요0
    •  
      21세기오일러 Lv.11 2020.02.27 06:17

      제기 대댓글을 23개나 달아서

      좋아요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