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9일에 태어난 사람들은 양력으로 4년마다 한 번씩 생일을 맞는다. 바꿔 말하면 3년 동안 생일을 잃어버리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이 날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장난스럽게 나이를 4년마다 한 번씩 먹는다고 하며 파티를 한다면 아예 하지 않거나, 전후일인
2월 28일이나
3월 1일에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 날이 생일인 사람들은
쥐띠,
용띠,
원숭이띠 뿐인데다
물고기자리라는 게 특징이다.
2월 29일이 생일인 사람은 생일 축하때 심히 난감하다. 생일 잔치를 2월 28일에 하느냐 3월 1일에 하느냐에 대한 논쟁 아닌 논쟁이 있기 때문. 결론부터 말하면 자기가 하고 싶을 때 하면 된다. 별로
쓸데는 없지만 여기에선 엄밀하게 따져보도록 하자.
일단 생일을 1년 중에서 자기가 태어난 시각이 포함된 날짜로 정의한다. 쓰기 길어지므로 생시라고 하자. 매년 생시는 약 6시간씩 늦어지게 된다. 정확하게 1년이 지났을 때 365일이 지나고도 다시 6시간이 지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4년이 지나면 대략 하루가 늦어진다. 물론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 윤년이 있는 것이다.
어떤사람의 생일이 2월 29일 0시, 즉 2월 28일 자정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두 번째 생일은 2월 28일 자정 + 6시간 -1일 = 2월 28일 오전 6시
세 번째 생일은 2월 28일 오전 6시 + 6시간 = 2월 28일 정오
네 번째 생일은 2월 28일 정오 + 6시간 = 2월 28일 오후 6시
그리고 다섯 번째 생일은 2월 28일 오후 6시 + 6시간 = 2월 29일 0시
로 돌아오게 된다. 그래서
-
29일 0시~6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윤년이 아닌 해 모두 2월 28일에 생일 축하를 하면 되고,
-
29일 6시~12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1, 2년째에 해당되는 해에는 2월 28일, 3년째에 해당되는 해에는 3월 1일,
-
29일 12시~18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1년째에 해당하는 해에는 2월 28일, 2, 3년째에 해당되는 해에는 3월 1일,
-
29일 18시~24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윤년이 아닌 해 모두 3월 1일에 생일 축하를 하면 된다.
-
물론 이렇게 따지다간 2월 29일이 생일이 아닌 사람들 역시 생일이 하루씩 왔다갔다하게 될 것이니 대충 하고 싶을 때 하고 생일을 음력으로 따지는 사람들은 무시해도 된다.
출처: 나무위키 (역시 위키가 짱이지(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