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수학을 주제로 떠들어 보세요!
[어셈블에게 물어봐] [온클 질문] 2. 공부
수학동아 2022.02.15 23:26 조회 352

 

안녕하세요!

 

유지연 매니저입니다~

 

2022년 1월 25일에 진행한 폴리매스 어셈블 온라인 클래스!

 

생방송으로 많은 분들이 참여해서 질문도 남겨주셨어요.

 

짧은 시간 동안 답변을 하지 못했던 것이 아쉬워서 폴리매스 어셈블 멘토가 준비한 시간!

 

바로~ 생방송에서 나온 질문 중 답변하지 못한 질문들을 답변하는 시간이에요!

 

크게 3가지 카테고리로 나눠 질문을 게시합니다.

 

질문을 보고 멘토가 직접 댓글을 달아 줄 거예요!

 

댓글로 폴리매스 어셈블 멘토와 소통도 하고, 답변도 들어보세요!

 

가장 많은 질문이었던 '공부'에 관한 질문들입니다~

 

 

 

 

 

 

2. 공부

 

 

1) 지니 : 꿈은 크게 잡으라고들 해서 카이스트 수리과학과를 꿈으로 잡은 예비 중1입니다.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할까요, 인터넷에서 강의를 들어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2) 박공민 : 수학을 흥미롭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항상 풀어보겠다고 문제집을 풀기까지는 하는데 그 다음이 고민이네요.

 

3) 박공민 : 저는 수학을 할 때 머리를 써야 해서 너무 싫어요. 머리는 쓰기 싫고, 수학은 꼭 해야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4) 박공민 : 저는 수학이 싫은 이유가 저만의 방법을 찾는 것이 어려워서 인 것 같아요. 자신만의 수학 공부방법을 찾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5) NinaJH Yu : 집에서 문제집을 푸는 데 생각을 많이 해야 하거나, 푸는 데 어려울 것 같은 문제는 미루게 되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6) 삥뜯는천사 : 수학 잘 하는 법 알려주세요

 

7) HEESUN JO : 수학 공부는 하루에 몇 시간 정도 하면 될까요? (수학 공부 하루에 몇 시간 정도 했는지, 제일 많이 했을 때, 제일 많이 안했을 때, 평균)

 

8) 김나영 : 혹시 초, 중, 고 공부할때는 어느 과목을 제일 열심히 해야 할까요?

 

9) HEESUN JO : 수학은 언제쯤 공부하기 시작하면 돼요?

 

10) HEESUN JO : 초등학교 4학년이면 몇 학년 걸 하면 맞을까요?

 

11) 이재형 : 김홍녕 멘토님, 저도 계산 실수를 많이 하는데요, 어떻게 극복하셨어요?

 

12) Junik lee : 멘토님들이 생각하시기에 가장 중요한 과목이 있나요? 수학이 더 중요할까요 영어가 더 중요할까요? 아니면 국어가 더 중요할까요?

 

13) 골드러시 : 독서는 어느 정도 하셨나요?

 

 

 

  •  
    조영준 멘토 Lv.3 2022.02.15 23:50

    5) 어려운 문제만 남게 되면 정말 머리가 아픈 것 같습니다. 순서대로 푸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8, 12) 본인이 잘하는 과목이 가장 중요한 과목입니다.
    13) 독서는 안했었는데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읽어야하는 필독도서! 이런걸 찾아서 읽으실 필요는 전혀 없고 본인이 읽고 싶은 책을 찾아서 읽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저는 요즘 영상 편집하는 방법이 궁금해서 유튜브 영상 편집 기술을 정리해놓은 책을 읽고 있어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강지원 멘토 Lv.4 2022.02.19 04:34

    2),3) 수학이 재미없다면 매달 새롭고 재미있는 내용들이 연재되는 수학동아와 같은 잡지를 읽어보거나 스도쿠/노노그램 등 수학과 관련된 퍼즐과 게임을 통해 수학에 접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6) 수학은 개념을 익히는 것보다 문제를 많이 풀면서 직접 부딪혀보는 것이 실력 향상에 중요합니다. 문제를 꼭 많이 풀어보세요.

    9),10) 언제부터 수학을 어떤 내용으로 공부해야 할지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유태영 멘토 Lv.3 2022.02.21 09:08

    1. 기본기를 익히는 것이 우선 가장 중요합니다. 그 과정은 사람마다 맞는 방법이 다르므로 여러 방법을 시도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다만 문제를 푸는 데에 너무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어떤 개념을 배웠고 이 개념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부를 할 때에 문제집 등의 문제를 푸는 것은 개념과 그 응용을 익히기 위한 수단이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4. 조언이 어려운 질문입니다. 각자마다 그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시도를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항상 왜? 라는 질문을 던져 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7. 사람들의 성향마다, 그리고 상황마다 천차만별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집중적으로 어떤 기한을 정해놓고 몰두하는 방법이 괜찮았습니다.

    12.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