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에 의한 상을 작도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우선 볼록 거울이든 오목거울이든 간에 그 거울을 원의 일부라 생각하고 그 원의 중심을 찾습니다. 그리고 옆에서 봤을때가장 튀어나와 있는 거울의 부분과 원의 중심을 연결한 선을 광축이라하고 반지름을 이등분하는 지점 중 광축과 만나는지점을 초점이라 합니다.
우선 오목거울의 경우
상에서 광축과 평행한 직선을 그립니다. 이때 거울에서 반사될때 초점을 지나도록 그립니다.(빨간색)
그리고 광축과 거울이 만나는 지점에 선을 직선을 그리고 거울과 만날때 정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같은 각도로 반사됩니다.(파랑색)
이때 반사된 빛이 만나면 그곳에 상이 생기고 만나지 않는다면 거울 뒤로 연장선을 그어 두 연장선이 만나는 곳에 상이생깁니다. 그러나 이때 두 연장선이 평행하면 상이 생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초점에 물체가 있을 경우)
사진 출처:네이버
볼록거울의 경우
볼록거울도 오목거울처럼 직선을 그리는 과정은 똑같습니다. 볼록거울을 원의 일부라 생각하고 중심을 찾아 초점을 찍는다. 다만 초점이 거울 뒤에 있기 때문에 직선을 그릴때 반사된 빛이 거울 뒤 초점에서 나오는 것처럼 그려야 합니다. 그리고 오목거울과 마찬가지로 광축과 거울이 만나는 지점에 직선을 긋고 정반사가 일어나므로 같은 각도로 반사되는 것처럼그린다. 이때 두 반사된 직선의 연장선이 만나는 곳에 상이 생긴다.
그렇다면 평면거울의 작도방법은 어떨까? 똑같이 원의 일부라 생각하고 풀기!!!(단, 그냥 어떤 상이 생긴다고 말하지 말고 작도를 해주세요.)
그리고 평면 거울 작도는 제가 응용한 내용입니다.
좋아요
1
글쎄요
1
어려워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