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화장실은 휴지가 칸마다 있고, 어떤 화장실은 휴지가 밖에 하나가 있습니다. 근데 도대체 왜 그렇게 만들어 놓은 걸까요? 칸마다 있으면 딱 필요한 양을 쓸 수 있는데 밖에 있으면 휴지가 부족해서 곤란해지거나 낭비될 수 있지 않나요? 근데 왜 굳이 휴지를 밖에다 놓은걸까요? 수학적으로(?) 알려주실 수 있는 분 있나요?
음...그냥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여러 개 갈려면 귀찮아서...
만약에 휴지가 특정 칸에 없고, 다른 모든 칸이 사용중이라면 어떨까요?
그 특정 칸에서는 휴지를 쓸 수가 없겠죠???
그래서 아마도 밖에 놔두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밖에서는 휴지가 떨어졌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지만,
안에 있으면은 휴지가 떨어졌다는 사실을 상대적으로 알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런 거 아닐까요...
(제 생각에는 맨 위의 이유가 가장 클 듯)
제가 초등학교때 화장실 휴지가 밖에 하나밖에 없어서 곤란했던 경험이 있네요ㅠ
얼마나 가져가야될지 몰라서 그렇기도 하고 애들이 휴지갖고 장난치기도 하고(...)
으음 휴지를 밖에다 두면 바닥에 떨어지는 휴지양이 각 칸마다 휴지를 놓아서 생기는 휴지양보다 적어서 그렇게 놓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갑자기 드네요
남자화장실은 어떨지 모르겠는데 여자 화장실같은경우에 각 칸마다 휴지를 놓으면 쓸모없는 휴지들을 바닥에다가 떨어뜨려놓거나 휴지로 장난질을 해놓는 아이들이 디게 많아서 바닥에 떨어진 휴지가 너무 많아요 그리고 휴지를 그렇게나 낭비하는게 환경에도(?) 안좋을까봐 밖에다 놓는거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