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수학을 주제로 떠들어 보세요!
[잡담] 흠.....
17수락 2021.08.16 01:24 조회 355

최근 인격이 변화하며 mbti가 enfp로 바뀌었는데

https://namu.wiki/w/%EB%8C%80%ED%95%99%EC%88%98%ED%95%99%EB%8A%A5%EB%A0%A5%EC%8B%9C%ED%97%98/MBTI

에 따르면 정확히 제 반대 성향이 수능에 더 유세하다네요

그리고 종합 순위는 꼴등.....

솔직히 제가 공부를 못하지는 않거든요

  •  
    솔바람 Lv.10 2021.08.16 01:36

    개인적으로 MBTI는 대인관계나 일상에서의 성격이라는 범위 안에서만 바라봐서..

    시험에 관련해서는 생각해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오 잠시만요 나무위키 성격유형 전부 업데이트되었네요?? 끝까지 읽어보러 갑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시그마가싫어요 Lv.9 2021.08.16 06:04

    아니 진짜 f는... 

    이분 어린애들이 놀이터에서 그네타는데 잠깐 내렸다고 그네 뻇은 절대 f가 아닌분...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3
    •  
      17수락 Lv.9 2021.08.16 08:13

      실체를 모르시네요

      사고 (Thinking) - 업무 중심 타입. 진실과 사실에 주로 관심을 가지며 '맞다, 틀리다'의 판단 선호. 논리적, 분석적이며 객관적으로 사실을 판단한다. 원리와 원칙을 중시한다. 논평하기를 좋아한다. 감정형보다 현실적이다.

      감정 (Feeling) - 인간관계 중심 타입. 사람과의 관계에 주로 관심을 가지며 '좋다, 나쁘다'의 판단 선호. 상황적, 포괄적이며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의미, 영향, 도덕성을 중시한다. 우호적인 협조, 공감하기를 좋아한다. 사고형보다 이상주의적이다

      솔직히 제가 사고적이기보단 감정적이죠

      이유1: 사람과의 관계에 매우 관심을 가짐

      이유2: 맞다 틀렸다로 판단하는것보다 좋다 나쁘다처럼 포괄적인 범위(?)에서 판단함

      이유3: 주변 상황을 매우 고려하여 판단

      이유4: 원리와 원칙보단 영향을 중시함

      이유5: 우호적인 협조를 하고 공감하기를 좋아함(물론 저를 기분 나쁘게 하는 사람 예: 놀라운 폴리매스님 에겐 협조를 안하죠

      이유6: 논평하기를 싫어한다(참고로 작년쯤엔 istp여서 논평을 좋아했음)

      좋아요0
    •  
      시그마가싫어요 Lv.9 2021.08.18 00:49

      @17수락

      1. 뭐 이건 인정하죠

      2. 맞다 틀렸다나 좋다 나쁘다는 별 차이가 없어보입니다만...

      3. 아니 매일 학원에서 눈치없이 진도는 언제 나가냐고 그러기만 하다가 혼나지 않나요?

      4. 이건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5. 아니 제가 봤을 때 17수락님은 주변 인물들에게 비우호적이고 비협조적이고 공감하지를 못하는 것 같던데... 그럼 주변 사람 모두가 수락님을 기분나쁘게 한다는 것인가요?

      6. 지금도 좋아하시는 것 같던데요... 논평하고 싶어서 매일 그렇게 사람들한테 비우호적인거 아니었나요?

      좋아요0
    •  
      17수락 Lv.9 2021.08.20 07:09

      1. 제가 승리

      2. 맞다 아니다는 딱 단정짔는 것이고 좋다 나쁘다는 단정짓지 않습니다

      3. 제가 학원은 예외에요

      4. 원칙을 따르기보단 다른 사람들의 영향을 따릅니다

      5. 그 주변 인물이 님이랑 x예x님 밖에 없는것 같네요

      6. 제가 패배

      @놀라운-폴리매스

      좋아요0
  •  
    아인수타인 Lv.12 2021.08.16 22:38

    수능이 아니라 영재고 입시는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