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면 이렇게요
(계산기 사용하지 말고요)
음....? 그냥 일반적인 나눗셈 방법을 쓰면 되지 않을까요?
(뭔가 이거 말하시는거 아닌 것 같은데 잘못 이해했다면 죄송합니다)
네 제가 보기에도 완샤브님 말씀이 맞는 거 같습니다
다소 부족하긴 할테지만 설명을 덧붙여보자면
211에서 16을 나눌 때 올려주신 사진에서 볼 수 있다시피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수로 결과가 나오는거고요.
대충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소수점을 오른쪽으로 한 칸 보낼때마다 수가 10배씩 커지는걸 알 수 있습니다.
몇 학년때 배우는지는 기억이 안나네요!
그러므로 211÷16=13.1875를 정수로 바꿔보자면 2110000÷16=131875가 됩니다.
원래 식에서 좌변의 211에 10000을 곱하면서 우변의 소수점을 없애줄 수 있죠.
따라서!
211을 16으로 나눠주다가, 나머지가 생기면 뒤에 0을 하나 붙이고 다시 나누고, 그래도 나머지가 있으면 0을 또 붙이고... 이런 식으로 하다보면 언젠가 나누어 떨어집니다.
그럼, 그 때 계산을 끝내주고, 더한 0의 개수만큼 세서 적절히 소수점을 찍어주면 됩니다.
다만 이 때 반례가 한 가지 있다면 소수점 아래로 무한히 이어지는 소수들인데, 여기서는 또 순환소수와 비순환소수로 나눕니다.
순환소수는 위에서 나머지가 0이 아닐때 0을 뒤에 추가하는 방식에서, 계속해서 계산하는 나머지들에 주기가 나타나는 경우인데요, 이 때는 그 순환하는 마디를 찾아서 위에 점 찍어서 표기하면 됩니다.
비순환소수면 어쩔 수 없어요. 안 끝나고, 규칙도 없습니다. 그냥 계-속 무한히 쓰면 됩니다.
아, 제가 기억이 잘 안나는데 나눗셈을 할 때는 비순환소수가 안나오던가요? 그랬던 것 같긴 한데... 아무튼 그냥 그래요.
죄송합니다.
기억이 잘 안나서 이 이상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