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polymath.co.kr/contents/view/31826?page=1
자, 저는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이 값을 구해볼 것입니다.
모델학습의 4단계는
1. 데이터를 준비한다
데이터를 만들어야겠죠?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넘어가서 문제의 정보를 입력해줍니다.
파이썬의 pandas 모듈을 사용해 표를 입력해줍니다. n은 번호로, 종속변수고
sq는 수열로, 독립변수입니다.
데이터 준비완료
2. 모델을 만든다.
이제 모델을 만들어야겠죠?
중간층은 귀찮으므로 추가하지않고 단일로 하겠습니다.
텐서플로우를 통해 모델을 제작하겠습니다.
대강 단일 구조의 인공신경망을 설계했습니다(이정도면 딥러닝도 아님...)
3. 모델을 학습합니다.
이제 만든 모델과 데이터로 학습을 시작합시다!
x는 독립변수이므로 독립을 입력해주고...
3000번을 학습했더니 loss mse(제곱 평균 오차 손실률)이 0.7정도로 하락하였습니다!
추가로 1000번을 더 학습시켜보죠
loss가 이제 더이상 하락하지않습니다.
4. 모델을 활용한다.
이제 문제의 값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빈칸을 구해봅시다.
음.... 맞는 부분인지는 모르겠다만...
1,1,2,3,5,8에는 약간 일치하긴하네요
이제 독립변수에 7을 넣어보겠습니다.
8.129333
답은 8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