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수학을 주제로 떠들어 보세요!
[잡담] 폴리매스 신문 9호 10-27(일)
집돌이 페렐만 2019.10.28 04:00 조회 783

        폴리매스 신문                 2019.10.27(일)

제 9호                                                                           휠릭시스 님의 부재로 8, 9호는 제가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기사>


<7레벨 증가 후덜덜>

7레벨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폴리매스는 7레벨까지 없고, 이모티콘 역시 5레벨 이모티콘까지밖에 없는데 서둘러 8레벨 혹은 새로운 제도를 만들어야할 듯 합니다.

<폴리매스 이용자의 나이>

대부분의 폴리매스 이용자 분들은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 사이에 있다고 합니다. 어린 나이에도 수학을 탐구하는 폴리매스 유저분들 리스풱~!

<다양한 유형의 문제들>

집돌이 페렐만님의 하노이 탑 시리즈를 시작으로 뉴__턴 님도 하노이 탑 문제를 올렸습니다. 또한 루빅스 큐브 문제, 지난 번 8호에서 다뤘던 초딩과 중딩의 대답 문제, 창의력 폭탄 문제 등 시리즈 형식이나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이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이를 보면 앞으로도 매스펀의 발전과 억지논리에 버금가는 문제들을 기대할 수 있을 듯 합니다. 폴리매스 화이팅!

<폴리매스 유저들 개인정보 공개>

위의 나이와 같이 폴리매스 유저분들의 개인정보가 대다수 유출되고 있습니다. 난 세종소왕이 되고 싶다(구 갈릴레오 님)은 제주도에 살고 계신다는 정보, 아인수타인님이 현재 중1이라는 정보, 집돌이 페렐만 님의 어과동 시절까지(여기 볼 사람 보세요 집돌이 페렐만 포트폴리오) 쓸데없이(?) 많은 정보가 유출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자제할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야우심통의 억지논리에 따르면 이런 식으로 한 달만 더 지속되면 폴리매스 사이트가 친구 맺기 사이트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네요.(이 가능성은 약 0.000000000000...01%라고 야우심통은 밝혔다.)

<위클리 퍼즐>-새로운 코너! 위클리 퍼즐


문제 : 폴란드와 체코 국경에 비행기가 추락했다. 생존자들은 어느 나라에 매장해야(묻어야) 할까??

지난 호 정답 : 

뉴__턴님 정답입니다!

불을 서쪽에다 붙이면 서쪽으로 나서 탈물질이 사라진다. (그러면 불이 꺼진다.)

정답을 비댓으로 남겨주시면 됩니다!

<소스 사용법>


<오늘의 문제>-매일 좋은 문제 하나씩 소개합니다.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총잡이들의 결투 <--클릭!

수학동아에 올라간 이후 댓글이 없다네요! 풀면 300포인트를 준다고 하니 모두들 도전하세요!

 


지금까지 폴리매스 신문의 집돌이 페렐만 기자였습니다.

읽고 나서 꼭 소감을 댓글에 써 주세요!

문의사항 있으시면 댓글에!

  •  
    아인수타인 Lv.12 2019.10.28 04:28

    위클리 퍼즐 정답: 생존자이므로 묻지 않아야 한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3
  •  
    21세기오일러 Lv.11 2019.10.28 04:47

    저의 단순계산이라는 문제 좀 광고해주세요.

    문제를 틀려도 30포인트를 100퍼센트의 확률로 지급한다는 것도 함께요. ( 즉 틀려도 레벨 상승 가능성 있음.)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집돌이 페렐만 Lv.9 2019.10.28 04:54

    휠릭시스님 저는 임무를 완수하였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3
    •  
      21세기오일러 Lv.11 2019.10.28 05:10

      둘이 친군가요?

      아니면 어떻게 아시나요?

      좋아요0
    •  
      로보카폴리 Lv.11 2019.10.28 05:11

      근데 휠릭시스님 수학여행때문에 못한거에요?

      좋아요0
    •  
      K→C≡N Lv.11 2019.10.30 03:07

      감사합니다.

      좋아요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