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니까 단순문제가 왜 문제가 되는지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그 댓글 보니까, 사실 일반적으로는(폴리매스와 관련 없이) 쉬운 문제를 더 좋아하는데 '단순한 문제가 무슨 문제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더라고요. 그래서 앞으로는 단순문제라는 표현보다는 성의없는문제라는 표현이 더 좋을 거 같습니다. 혹시 동의하시지 않는다면 아래에 댓글 달아주세요.
물론 그렇긴 합니다. 하지만 신입 입장, 즉 이 단어를 한 번도 안 들어본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보죠. 아래 단어 중 어떤 게 더 심각해 보이는지 생각해보세요.
1. 지구온난화 2. 지구가열
1. 기후변화 2. 기후위기
어떤가요? 둘 다 2번이 더 심각해 보이지 않나요? 물론 의미는 같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은 확실히 다르죠. 똑같습니다. 단문사건을 많이 겪은 저희들이야 어떨지 몰라도, 이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단순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일반적으로는 쉬운 문제를 좋아하니 '단순하면 좋은 거 아냐?'라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는 다릅니다. 누가 봐도 성의없다는 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니 전 성의 없는 문제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입들에게 그 자체만으로 더욱 경각심을 주는 단어니까요.
어감이라... 물론 그럴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라는 단어가 더욱 경각심 있게 들린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단어 중 어떤 게 더 심각해 보이는지 생각해보세요.
1. 지구온난화 2. 지구가열
1. 기후변화 2. 기후위기
어떤가요? 둘 다 2번이 더 심각해 보이지 않나요? 물론 의미는 같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은 확실히 다르죠. 똑같습니다. 단문사건을 많이 겪은 저희들이야 어떨지 몰라도, 이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단순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일반적으로는 쉬운 문제를 좋아하니 '단순하면 좋은 거 아냐?'라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는 다릅니다. 누가 봐도 성의없다는 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니 전 성의 없는 문제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입들에게 그 자체만으로 더욱 경각심을 주는 단어니까요
네, 물론 글자를 더 많이 쓰는 수고는 있죠. 하지만 아래 단어 중 어떤 게 더 심각해 보이는지 생각해보세요.
1. 지구온난화 2. 지구가열
1. 기후변화 2. 기후위기
어떤가요? 둘 다 2번이 더 심각해 보이지 않나요? 물론 의미는 같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은 확실히 다르죠. 똑같습니다. 단문사건을 많이 겪은 저희들이야 어떨지 몰라도, 이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단순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일반적으로는 쉬운 문제를 좋아하니 '단순하면 좋은 거 아냐?'라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는 다릅니다. 누가 봐도 성의없다는 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니 전 성의 없는 문제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입들에게 그 자체만으로 더욱 경각심을 주는 단어니까요.
100% 그러라는 보장은 없긴 하죠. 하지만 똑같은 의미라도 더 '경각심'을 주는 단어는 있습니다. 아래 단어 중 어떤 게 더 심각해 보이는지 생각해보세요.
1. 지구온난화 2. 지구가열
1. 기후변화 2. 기후위기
어떤가요? 둘 다 2번이 더 심각해 보이지 않나요? 물론 의미는 같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은 확실히 다르죠. 똑같습니다. 단문사건을 많이 겪은 저희들이야 어떨지 몰라도, 이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단순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일반적으로는 쉬운 문제를 좋아하니 '단순하면 좋은 거 아냐?'라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는 다릅니다. 누가 봐도 성의없다는 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니 전 성의 없는 문제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입들에게 그 자체만으로 더욱 경각심을 주는 단어니까요.
성의 없는 문제라는 표현이 더 좋을 것 같다는 의견에 동의합니다.
대댓글 의미가 다 똑같긴 한데 알림 받으라는 의미에서 모두에게 썼습니다. 대댓글 내용도 동의하지 못한다면 그 이유와 함께 여기 대댓글로 달아주세요. 아, 그리고 동의한다고 썼던 분들도 의견 공유 환영입니다.
전 성의보다는 품질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성의있는 문제라도 질이 낮다면(...)
반면에 성의가 아무리 없어도 대단한 문제라면?
품질이 낮다는 의미에서 '저질문제'가 차라리 좋아보이네요
타인님의 대부분의 문제는 열심히는 만들었다고 할 수 있죠.
그런데 단순문제를 타인님처럼 장문으로 만들어도 성의는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질은 매우 낮고 단순하다고 할 수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