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수학을 주제로 떠들어 보세요!
[잡담] 앞으로 단순문제라는 단어보다는 성의 없는 문제라는 단어를 쓰는 게 나을 거 같네요
아인수타인 2020.09.02 02:27 조회 481

보니까 단순문제가 왜 문제가 되는지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그 댓글 보니까, 사실 일반적으로는(폴리매스와 관련 없이) 쉬운 문제를 더 좋아하는데 '단순한 문제가 무슨 문제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더라고요. 그래서 앞으로는 단순문제라는 표현보다는 성의없는문제라는 표현이 더 좋을 거 같습니다. 혹시 동의하시지 않는다면 아래에 댓글 달아주세요.

  •  
    K→C≡N Lv.11 2020.09.02 02:29

    동의하지 않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전자기역학 Lv.8 2020.09.02 02:30

    단순문제가 그런 것까지 내포하는 단어 아닌가유?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아인수타인 Lv.12 2020.09.02 05:14

      물론 그렇긴 합니다. 하지만 신입 입장, 즉 이 단어를 한 번도 안 들어본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보죠. 아래 단어 중 어떤 게 더 심각해 보이는지 생각해보세요.

      1. 지구온난화    2. 지구가열

      1. 기후변화        2. 기후위기

       

      어떤가요? 둘 다 2번이 더 심각해 보이지 않나요? 물론 의미는 같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은 확실히 다르죠. 똑같습니다. 단문사건을 많이 겪은 저희들이야 어떨지 몰라도, 이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단순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일반적으로는 쉬운 문제를 좋아하니 '단순하면 좋은 거 아냐?'라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는 다릅니다. 누가 봐도 성의없다는 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니 전 성의 없는 문제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입들에게 그 자체만으로 더욱 경각심을 주는 단어니까요.

      좋아요0
  •  
    △π Lv.9 2020.09.02 02:37

    단순문제가 어감이 착착 맞다는<<ㅍㅍ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아인수타인 Lv.12 2020.09.02 05:16

      어감이라... 물론 그럴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라는 단어가 더욱 경각심 있게 들린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단어 중 어떤 게 더 심각해 보이는지 생각해보세요.

      1. 지구온난화    2. 지구가열

      1. 기후변화        2. 기후위기

       

      어떤가요? 둘 다 2번이 더 심각해 보이지 않나요? 물론 의미는 같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은 확실히 다르죠. 똑같습니다. 단문사건을 많이 겪은 저희들이야 어떨지 몰라도, 이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단순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일반적으로는 쉬운 문제를 좋아하니 '단순하면 좋은 거 아냐?'라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는 다릅니다. 누가 봐도 성의없다는 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니 전 성의 없는 문제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입들에게 그 자체만으로 더욱 경각심을 주는 단어니까요

      좋아요0
  •  
    Yunite Lv.6 2020.09.02 03:00

    성의 없는 문제(6글자)

     

     

    단순문제 (4글자)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아인수타인 Lv.12 2020.09.02 05:15

      네, 물론 글자를 더 많이 쓰는 수고는 있죠. 하지만 아래 단어 중 어떤 게 더 심각해 보이는지 생각해보세요.

      1. 지구온난화    2. 지구가열

      1. 기후변화        2. 기후위기

       

      어떤가요? 둘 다 2번이 더 심각해 보이지 않나요? 물론 의미는 같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은 확실히 다르죠. 똑같습니다. 단문사건을 많이 겪은 저희들이야 어떨지 몰라도, 이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단순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일반적으로는 쉬운 문제를 좋아하니 '단순하면 좋은 거 아냐?'라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는 다릅니다. 누가 봐도 성의없다는 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니 전 성의 없는 문제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입들에게 그 자체만으로 더욱 경각심을 주는 단어니까요.

      좋아요0
  •  
    집돌이 페렐만 Lv.9 2020.09.02 03:30

    용어를 바꾼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고....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아인수타인 Lv.12 2020.09.02 05:13

      100% 그러라는 보장은 없긴 하죠. 하지만 똑같은 의미라도 더 '경각심'을 주는 단어는 있습니다. 아래 단어 중 어떤 게 더 심각해 보이는지 생각해보세요.

      1. 지구온난화    2. 지구가열

      1. 기후변화        2. 기후위기

       

      어떤가요? 둘 다 2번이 더 심각해 보이지 않나요? 물론 의미는 같습니다. 하지만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은 확실히 다르죠. 똑같습니다. 단문사건을 많이 겪은 저희들이야 어떨지 몰라도, 이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단순문제'라는 말을 들으면 일반적으로는 쉬운 문제를 좋아하니 '단순하면 좋은 거 아냐?'라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성의 없는 문제는 다릅니다. 누가 봐도 성의없다는 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니 전 성의 없는 문제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입들에게 그 자체만으로 더욱 경각심을 주는 단어니까요.

      좋아요0
  •  
    mathwizard Lv.7 2020.09.02 03:46

    성의 없는 문제라는 표현이 더 좋을 것 같다는 의견에 동의합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스윗루나 Lv.5 2020.09.02 03:47

    동의합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아인수타인 Lv.12 2020.09.02 05:17

    대댓글 의미가 다 똑같긴 한데 알림 받으라는 의미에서 모두에게 썼습니다. 대댓글 내용도 동의하지 못한다면 그 이유와 함께 여기 대댓글로 달아주세요. 아, 그리고 동의한다고 썼던 분들도 의견 공유 환영입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K→C≡N Lv.11 2020.09.02 05:22

      그런데 글 작성자가 쓴 대댓글은 알림이 안와요..

      좋아요0
  •  
    K→C≡N Lv.11 2020.09.02 05:23

    전 성의보다는 품질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성의있는 문제라도 질이 낮다면(...)

    반면에 성의가 아무리 없어도 대단한 문제라면?

    품질이 낮다는 의미에서 '저질문제'가 차라리 좋아보이네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아인수타인 Lv.12 2020.09.02 05:35

      음... 근데 오래, 열심히 만들었는데 과연 품질이... 낮을 수가 있을까요? 뭐 '저질문제'도 경각심이 느껴지긴 하겠지만...

      좋아요0
  •  
    K→C≡N Lv.11 2020.09.02 05:38

    타인님의 대부분의 문제는 열심히는 만들었다고 할 수 있죠.

     

    그런데 단순문제를 타인님처럼 장문으로 만들어도 성의는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질은 매우 낮고 단순하다고 할 수 있네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아인수타인 Lv.12 2020.09.02 05:41

      그런데 단순문제(뭐 아직 확정된 건 아니니 아직은 이렇게 부르겠습니다)를 만든 목적을 생각해보세요. 포인트를 많이 얻는 게 목적인데 과연 단순문제를 굳이 장문에 넣을까요? 그냥 빨리빨리 단문만 내고 말지

      좋아요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