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끝 기하는 방향을 중시하는 그래프 기하다
일단, 이동방향을 n, -n로 표시한다
n이면 정방향((0,0)에서 출발할 때 x가 증가하는 쪽)
-n이면 반대방향 ((0,0)에서 출발할때 x가 감소하는 쪽)
이동방향을 {n}이렇게 중괄호로 넣는다
그리고 이동방향으로 가면서 기울기를 달리하는 것이 무끝기하의 핵심이다
기울기는 소괄호로 표시한다
기울기는 함수를 넣을수있다
Inf(a)(t) = [0]{1}(sin t)형태로 “무끝함수”를 정의하면 앞으로 가면서 sin t형태로 기울기(방향)이 바뀐다 초기기울기는 []으로 표시한다
여기서는 함수의 대입값을 x가아니라 t(시간)으로 정의한다
(표기: 함수에서는 y = 형태로쓰지만 무끝기하는 Inf(함수이름)(매개변수)형태로정의한다)
f(x) = x함수를 무끝기하로 바꿔 표현하겠다 Inf(f)(t) = [1]{1}(0)이다 그이유는 여러분의 판단에맡기겠다 무끝기하는 기울기를 “정하는”것이 아닌 회전시키는 것임을 유의하자
•Inf(f)(t) = [0]{1}(1)이면 t가 1증가할때 기울기도 1증가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t가 0.1증가하면
•기울기는 0.1증가하겠죠?
Q1.무끝기하에서 Inf(f)(t) = [0](1){sin(t)} 일 때 원래 함수 f(x)를 구하라
Q2. 무끝기하 함수 Inf(g)(t) = [0](1){1/x}의 대수학적의미를 서술하라(또, 여러성질을 찾아보자)
좋아요
0
글쎄요
0
어려워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