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수학을 주제로 떠들어 보세요!
[잡담] 중요한 건의
우럭 2020.06.27 08:38 조회 608

지속적으로 트릭도 없고 너무 간단한 문제가 너무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의견을 하나 제시 해 봅니다.

1. 레이팅

말 그대로 잘 만든 거에 점수를 더 주자는 겁니다.

기본으로 문제를 올리면 100p, 기자님들의 선택으로 인정을 받으면 뒤에

파란 후광이 붙으면서 200p를 추가로 주는 겁니다.

그 보다 더 잘 만들었으면, 100p를 추가로 주면서 빨간 후광이 붙습니다.

2. 신고 제도

기존적으로 김미래님 이메일로 문삭 요청이 가능하지만,

느리고 효과도 좀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만약 5명의 회원들이 너무 간단한 문제에 대하여

문제 삭제 요청버튼을 누르면, 문제가 사라집니다.

3. 신고 제도 II

문제 삭제 요청이 5번 붙으면 1시간 동안 문제 제작에 제한이 걸리고,

10번 붙으면 2시간, 20번 붙으면 1일 제한 등 여러 강력한 조치를 취하면 좋겠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문제 제작 쿨타임 3분을 넣어주셨으면 합니다.

4. 마무리 

아무튼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  
    전자기역학 Lv.8 2020.06.27 09:05

    그건 기자님들이 바쁘셔서 안되요

    문제삭제요청버튼은 어떤 이상한 사람이 부계를 가지고 테러할 수 있는거라...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4
    •  
      GUN.007 Lv.11 2020.06.27 09:12

      100퍼 동의입니다

      좋아요0
    •  
      우럭 Lv.9 2020.06.27 09:35

      그래서 이런 걸 하는 특정한 사람을 기자님들이 10명 정도 정하는겁니다.

      평소에 활동을 많이 하고, 잘 알려지신 분들이 좀 맡으면 좋을 것 같은데요..?

      이게..문제가 많이 심각해서..

       

       

      좋아요0
    •  
      Yunite Lv.6 2020.06.27 18:09

      뽑히는 기준,뇌물혐의,그 사람의 시각등등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그건 어려울것 같습니다

      좋아요0
    •  
      구머 Lv.6 2020.06.28 07:21

      문제평가단 정하는건 짱 찬성이요!! 뭐 인터넷상에서 뇌물을 주는 사람이 어딨을까요ㅋㅋ

      좋아요0
  •  
    초코파이(π) Lv.8 2020.06.27 09:12

    2,3번이 부계에 취약해서...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GUN.007 Lv.11 2020.06.27 09:14

    그냥 범위를 만드는 건 어떨까요?

    전에도 나왔던 말인데

    초, 중, 고, 대

    가 선행에 따라 차이가 엄청나거든요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2
    •  
      전자기역학 Lv.8 2020.06.27 09:15

      범위도 만들면 조금 귀찮아져서...

      게다가 사람들이 그냥 초등에다가 이상한 문제 많이 낼 수도 있어서요..

      좋아요0
    •  
      원파 Lv.9 2020.06.28 00:08

      초등에는 다양한 문제를 출제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초등학교에서도 수학 시간에 여러 체험활동을 해보는 수업도 있고,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해보는 수업도 있습니다.

      이처럼 초등학생(중학생인데 초등학교거까지밖에 선행했을리가 없으니까) 들에게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풀어보는 것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틀린그림찾기 등 수학과 '전혀' 관련 없는 문제들은 올리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성냥개비 문제 등 창의적인 사고를 요하는 문제들은 '창의수학'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창의수학은 이름에 있듯 다시 '수학'에 포함되죠.

      이러한 이유들로 저는 초등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출제하는 것에 대해 '된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0
  •  
    △π Lv.9 2020.06.27 16:03

    사실 저희도 모두 이런게 있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은 합니다ㅠ

    실제로 4월 24일 토론에서도 나왔던 의견이니까요.

     

    하지만 너무 주관적인 의견이 들어갈 우려가 있고, 여러 사람들이 말씀하셨듯이 부계에 너무 취약합니다.

    저희도 조금 더 객관적으로 더 좋은 문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Yunite Lv.6 2020.06.27 18:01

    부계나 아는사람을 이용하면 끝나죠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아인수타인 Lv.12 2020.06.28 00:17

    사실 지금도 이전보단 많이 괜찮아진 거 같긴 한데 제 생각엔 대부분의 분들은 잘 지키시는 거 같은데 몇몇 분들이 성의가 없이 문제를 많이 내시는 거 같네요... 그리고 전 2,3번을 약간 바꿔서, 문제 아래쪽에 평가하기 버튼이 있고, 그 버튼을 누르면 좋은 평가이든 나쁜 평가이든 '서술'로 평가를 한 다음 별점 평가를 하는 거죠. 그 이외에 1번과 4번은 좋을 거 같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