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수학 문제 또는 퍼즐을 내는 곳입니다.
[창의 퍼즐] 그들의 세계 -PROLOGUE
오레오맛 아이스크림 2020.05.20 01:19 조회 1022

서기 2083년, 인류의 과학은 엄청나게 발전했다. 그러나, 과학의 엄청난 발전으로 자연은 초토화되었고, 과학자들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온갖 자연재해와 소행성 충돌로 2100년 지구가 멸망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전 세계의 항공우주국은 지구로부터 170만광년 떨어진 행성 B9563274로 이주 계획을 세웠다.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빛의 속도의 몇백만 배로 날 수 있는 우주선으로 인간 이주 계획을 세웠다. NASA- 1879는 대량생산이 시작되었고, 많은 나라들은 사람들의 시범 이주를 지원했다. 세계의 초강대국이 된 한국에서도 시범 이주를 계획하게 되었다. 한국의 과학자들은 한국의 초, 중학생을 상대로 시범 이주를 계획했다. 3천만 한국 인구 가운데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이 가게 된 것이고, 지원자는 셀 수 없이 많았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지원할 줄 몰랐던 과학자들은 수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300명을 뽑는 기초 테스트를 진행했다. 

며칠 후, 테스트를 통과한 300명은 학력 평가를 치렀다. 

 

이번 편 수학문제 - NASA - 1879는 한 번에 7만명을 태우고 행성 B9563274로 갈 수 있다. 만드는 데는 8분이 걸린다

그러나, 현재 개발중인 NASA - 1892는 한 번에 50만 명을 태우고  갈 수 있다. 만드는 데는 한 시간이 걸린다

(1)  시간이 없는데 보낼 사람이 많을 때는 어떤 우주선을 사용해야 더 효율적인가?

(2)  기술이 개발되어 NASA-1892는 만드는 데 45분, NASA- 1879는 만드는 데 7분이 걸릴 때, 어떤 우주선을 사용해야 더 효율적인가

(3)NASA-1879의 개발 시간은 단축할 수 없고, NASA - 1892의 개발 시간만 단축할 수 있을 때, 단축해야 할 시간 (단위는 분)의 범위를 구하시오

이 문제 어떠셨나요?

글쎄요

0

어려워요

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