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수학을 주제로 떠들어 보세요!
[잡담] 지나가다 보게 되었지만, 답은 이겁니다.
Abiria♡ 2020.04.24 23:51 조회 872

음...

지금 부모님이 나가신 상태라 죄책감 없이 '몰컴 아닌 몰컴' 중이지만,

곧 스스로의 힘으로 끄고 쉬기로 했기에,

이 글만 쓰고 갈겁니다.

 

우선...

일단은 제가 그런 어떠한 '문제들'의 한가운데 있었다는 건 인정합니다.

당초 과도한 잡담도배로 잡담포인트마저 없애버리고

최근 100n을 위해 목숨을 걸며 살아왔고

심지어 100n을 놓칠 경우 그 스트레스를 다른 사람에게 표출하기까지 하는,

참... 나쁜 사람이죠.

 

하지만 최근 그런짓은 그만하고 좀 쉬기로 했고,

100n은 포기했으며,

오늘처럼 죄책감에 걸리지 않는 선에서만

잠시잠시 들렸다 가는 정도...

로 아무래도 지켜질 듯 하기에,

저는 이 글을 씁니다.

 

애초에 저렇게 까지 길게 쓴 이유가 뭐냐?

뭐 사실 짧게 쓰면 더 가독성은 높겠지만...

중요한 것은 100n의 최근 사태의 한가운데 있던 (잘난척 +1) 사람으로써,

이 사태를 누구보다도 더 잘 이해한 상태라 생각합니다.

 

답은 간단합니다.

 

바로 '조금만 힘쓰면 아주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합니다.

만약 이번 기회에 놓칠 경우,

100n을 '만들어서' 다시 먹어야 겠다는 생ㄱ가을 하기 때문이죠.

또한, 자신이 없을 때 나오는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억지로라도 만들고 갑니다.

그러면 해결이 되느냐?

앞서 말했듯이,

그로인해 100n을 또 놓치게 되는 사람은 또다시 100n을 '만들려'할 것이고,

또 그로인해 놓치게 되면 또 만들고...

또또 만들고...

 

대충 비유를 들자면,

선거를 몇년에 한번이 아닌,

며칠에 한번씩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자기가 반대하는 당이 뽑히면 다시 투표, 또또 다시 투표...

사실상 공약 같은건 제대로 실현도 못할 겁니다.

제가 말하고자 하는 건,

정치의 원리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자신이 애쓴다고 생기는 것이 아닌' 것을 깨닫게 해야 합니다.

 

그럼 어떻게 이를 실현하느냐?

우선, 조금 강경책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100n은 허루에 최대 두개만 나올 수 있다든가... 라는,

뭐 이렇게 하면 '노력해서' 만들지 않게 될 것이며,

'없을 때 나올까봐 불안해하지 않게' 될 겁니다.

뭐 문제도 많죠.

예를들면 신규 유저가 그런 사항을 이해하지 못한 채 글을 올린다든가,

정작 필요한 글임에도 올리지 못한다든가 하는...

하지만 이런 방법이 아니라면 100n은 붕괴할 겁니다.

애초에 없었던 것이 되어버리겠죠.

 

...아니라면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전통을 조금 파괴하긴 하지만, 이정도라면 문제 없는 방법입니다.

애초에 유저는 점점 증가하니,

글이 늘어나는 것도 당연합니다.

고로, 100n이 아닌 1000n만 인정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생각합니다.

절대! 제가 1000n을 많이 해서가 아닙니다!

기존의 기록은 남기되,

자주 나오지 않게끔

1000n으로 기준을 바꾸자는 것이죠.

 

...뭐 이거나 그거나 둘다 별로네...

 

음 그리고 마지막 방법은,

약간 이상할 정도로 극단적이긴 한데...

글을 올릴때마다

뭔가를 사용하게끔 하는 거죠.

예를들면 1회 글 올림권이라든가...

 

 

 

 

 

...네. 그냥 없었던 거로 하죠.

 

 

 

 

 

...아, 쓰면서도 참... 힘드네요.

그냥 없었던 거로 하기에는 말이 안돼고,

애초에 글을 올리는게... 목적인데...

그렇다고 글 올릴 자유를 제한하는 것도 참 말이 안돼고....

개인적으로는 1000n단위 방법이 나은 듯 한데...

 

 

 

 

 

 

 

 

 

 

 

 

 

 

 

 

 

 

 

 

 

 

 

 

 

 

 

 

 

 

 

 

 

 

 

 

 

 

 

 

 

 

 

 

 

 

 

 

 

 

 

 

 

 

 

 

 

 

 

 

 

 

 

 

 

 

 

 

 

 

 

 

 

 

 

 

 

 

 

 

 

 

 

 

 

 

 

 

 

 

 

 

 

 

 

 

 

 

 

 

 

 

 

 

 

 

 

 

 

 

 

 

 

 

 

 

 

 

 

 

 

 

 

 

 

 

 

...지금까지 읽느라 고생 많았습니다.

왜냐?

위의 방법들은 그냥 장식용입니다.

일부러 서문도 길게,

방법도 없는듯,

꾸며왔죠.

 

지금까지의 모든 게 연기라는사실!

 

답은 사실 간단합니다!

 

...하지만 그 답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체험시켜 드리고자,

잠깐 쇼좀 해봤습니다.

 

 

죄송합니다 하하.

 

 

....고래서 답이 뭐냐?

 

 

아니, 하하!

이미 알고 계십니다!

 

 

....100n법에 이미 있잖아요!!!

 

 

 

 

 

 

 

 

 

 

 

 

 

 

 

 

 

 

 

 

 

 

 

 

 

 

 

 

 

 

 

 

 

 

 

 

 

 

 

 

 

 

 

 

 

 

 

 

 

"연속으로 네개 이상 올릴 수 없다"

 

 

 

 

 

 

 

 

 

 

 

 

....이상입니다.

  •  
    Abiria♡ Lv.8 2020.04.24 23:53

    네개는 좀 심하니까 한 6개 정도로 잡아 주면, 충분합니다.

    문론 사전에 공지를 해야겠지만

    딱히 하루에 나오는 제한을 두지도,

    기존의 전통을 파괴하지도,

    억지로 자유를 제한하거나

    티켓을 판매하지 않고서도.

     

     

     

     

     

     

     

    .....다들 이미 알고 계신 방법이죠.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0
  •  
    K→C≡N Lv.11 2020.04.24 23:54

    하지만 제 잘난척에 비하면 부족하네요.

    더 노력하세요. 사람님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1
    •  
      Abiria♡ Lv.8 2020.04.24 23:55

      읭?

      어째서죠

      저는 요즘 잘난척이 하늘을 찌르는데...

       

      이정돈 약과입니다만.

      좋아요0
  •  
    Abiria♡ Lv.8 2020.04.24 23:54

    잘난척 하나만 하자면,

    사실 100n의 원본은 제가 만들었습니다!

     

    = 저는 100n의 문제를 일으킨 장본인인 도잇에,

    해결책을 만든 사람이라는 사실!

     

    병주고 약주고인가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2
    •  
      K→C≡N Lv.11 2020.04.24 23:57

      100n은 제가 만들었어요

      그건 누구나 인정합니다.

       

      그리고 답쓰고 수정하기 등 여러가지 나쁜짓도 했죠

      좋아요0
    •  
      Lv.7 2020.04.24 23:57

      현대 100n법의 창시자는 저입니다.(잘난척)

      좋아요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