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게임 디자인 씽킹] [미션2]여러분이 좋아하는 게임의 아트를 분석해 올려주세요!
수학동아 2020.04.24 00:26 조회 2058

게임의 몰입도를 높이는 게임 아트! 여러분은 게임 아트가 예술 작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수년 전부터 국내와 해외의 현대 미술관에선 게임 아트를 전시하며, 새로운 예술 장르 중 하나로 인정하고 있어요. 게임의 콘셉트를 표현하는 콘셉트 아트부터 2D, 3D 그래픽 모형, 캐릭터나 사물의 움직임을 만드는 애니메이션, 특수 효과 등 게임에서 보이는 모든 것이 예술 활동과 연관돼 있답니다.

 

이번 호에서는 시각 예술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조형’의 관점에서 게임 아트를 관찰해보고, 자주하는 게임에서 어떤 형태로 주제를 드러냈는지 함께 이야기 나눠봐요! 

 

 

좋아하는 게임에서 조형 요소 찾기!

게임 아트는 기본적으로 조형의 원리 위에 아티스트의 생각과 경험 등이 얹어져 탄생합니다. 아주 단순하게 보이는 게임 아트도 그 안에 아티스트의 수많은 고민과 생각이 담겨있죠. 여러분이 게임을 즐길 때 느끼는 시각적인 편안함은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복잡한 조형 요소들의 짜임새 있는 구조에서 비롯됩니다. 아티스트가 마치 건축을 하듯 심혈을 기울여 조형 요소들을 설계한 결과죠.

 

이번 호에서는 조형 요소 중 하나인 ‘주제의 위치 선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크게 ‘3등 분할 구성’과 ‘중앙-대칭 구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주제는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러 조형 요소가 집합을 이룰 수도 있습니다.

 

 

3등 분할 구성

가장 편안하고 쉬운 구성으로, 화면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3등분해 선의 교차점에 주제를 두는 방법입니다. 화면의 아래에 주제를 배치하면 가장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주제의 반대편에 부제를 두면 시선을 정리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배치는 화면에 공간감을 만들어 주죠.

 

1. 찰스 베나제크의 ‘가족들에게 작별을 고하는 루이 16세’

주제를 화면 왼쪽 3분의 1지점에, 그림 속 상황을 보조하는 부제를 오른쪽 3분의 1지점에 뒀습니다. 하녀로 보이는 오른쪽의 세 여인 중 두 여인의 시선을 왼쪽으로 향하게 하고, 다른 한 여인은 고개를 돌려 반대쪽 아래로 시선을 떨어트리게 그려 자칫 왼쪽으로 기울 수 있는 그림 속 힘의 균형을 조화롭게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선의 변화 요소가 시각적 재미를 주죠.

 

2. 포트나이트 배틀로얄 로블록스 에디션

주제를 화면 오른쪽 3분의 1지점에, 부제인 적캐릭터를 반대편 3분의 1지점에 뒀습니다. 적캐릭터가 부제인 만큼 크기를 작게 표현했으며 주제와의 크기를 달리해 원근감을 느낄 수 있게 했습니다. 상단에 ‘ROBLOX’라는 로고를 넣어 화면 좌우의 균형을 맞춰 안정감이 느껴지도록 했습니다. 또 주인공 뒤의 나무가 화면의 반을 비스듬히 나눠, 화면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1:1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시각적으로 좌우가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중앙-대칭 구성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강조할 때 주제를 중심에 크게 배치하기도 합니다. 연관 또는 대립 등의 관계성을 보여줄 때도 자주 쓰이죠. 다만 중앙을 중심으로 완벽한 대칭을 이루면 인위적이거나 밋밋해 보일 수 있어요. 중앙 배치가 얼핏 쉬워 보여도 예술가의 세련된 감각을 요구합니다.

 

1.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생각에 잠긴 소녀의 초상’

아래로 내려다보는 듯한 소녀의 시선으로 인해 소녀의 얼굴과 어깨, 양팔이 삼각형 형태를 이뤄요. 화면을 가르는 중앙 구성과 주제인 얼굴이 화면 상단에 있어 자칫 불안정감을 줄 수 있는데도 삼각 구도로 시선을 유도해 관람자가 화면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어요. 중앙 구성이지만 좌우 대칭을 피해 단조로움을 없앴습니다.

 

2. 오버워치

송하나와 로봇 메카를 화면의 중심에 배치해 좌우 대칭을 이루는 구성을 했어요. 송하나의 자세를 비대칭하게 만들어 대칭이 주는 지루함을 없앴죠. 송하나가 들고 있는 분홍색 범칙금 통지서는 화면의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약간 비껴 있는데요. 화면의 무게감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화면 왼편 메카의 분홍 발광체가 막아주고 있어요. 화면 좌우의 반을 손으로 가리고 보면 확실히 느낄 수 있어요.

 

 

센터-대칭 구성의 응용

센터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구도로, 연관관계나 대립 등의 관계성을 상징하는 구도로 자주 쓰입니다. 마찬가지로 완벽히 좌우를 같게 하기 보다는 좌우 비대칭의 균형을 활용하는 것도 좋아요.

 

워로봇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는 주제구성을 보이고 있어요. 완벽한 대칭구도는 단조로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화면 가운데 지점을 중심으로 좌우 힘의 균형은 유지한 상태에서 실루엣의 변화를 줘 비대칭의 균형을 이루게 했어요. 

 

 

여러분이 좋아하는 게임의 주제 위치 선정은 어떤가요? 게임 이미지를 캡처해 여러분의 생각과 함께 올려주세요! 추첨을 통해 선물을 드릴게요! 

 

문제를 출제한 이은진 교수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영상대학원을 졸업한 뒤 엔씨소프트와 넥슨에서 리니지2, 길드워2, 마비노기 영웅전 등의 게임개발에 참여했습니다. 경기콘텐츠진흥원에서 경기게임아카데미의 전임 교수로서 인디게임 개발사의 교육과 창업지원을 총괄했 습니다. 현재는 명지전문대학 소프트웨어콘텐츠과에서 게임과 비주얼 아트, 예술융합소프트웨어 교육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  
    황금 열쇠 Lv.7 2020.04.26 04:41 비밀댓글
    확인요청중
    비밀 댓글이 등록 되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댓글수0
  •  
    이과생 Lv.6 2020.04.27 00:43 비밀댓글
    확인요청중
    비밀 댓글이 등록 되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댓글수1
  •  
    황금 열쇠 Lv.7 2020.04.28 00:27

    참가자가... 2명...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2
    •  
      강냉이 Lv.6 2020.04.28 04:37

      이제 3명 이에요!!!

      좋아요0
    •  
      이과생 Lv.6 2020.05.04 01:01

      이제 4명~!

      좋아요0
  •  
    강냉이 Lv.6 2020.04.28 04:36 비밀댓글
    확인요청중
    비밀 댓글이 등록 되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댓글수0
  •  
    관종이 Lv.9 2020.05.01 09:08 비밀댓글
    확인요청중
    비밀 댓글이 등록 되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댓글수0
  •  
    종익 Lv.1 2020.05.18 05:47 비밀댓글
    확인요청중
    비밀 댓글이 등록 되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댓글수1
  •  
    222 Lv.9 2020.05.18 18:56 비밀댓글
    확인요청중
    비밀 댓글이 등록 되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댓글수0
  •  
    이과생 Lv.6 2020.06.01 06:36

    그런데 게임 디자인 씽킹은 추첨 결과가 어디에 나오나요?@.@

    수동에도 안 나오네요................ㅜㅜ

    댓글 작성하기 좋아요0 댓글수2
    •  
      조가현 편집장 Lv.15 2020.06.01 19:09

      이은진 교수님께서 내주신 미션의 당첨자는 7월호에 발표합니다. 오규환 교수님과 이은진 교수님이 격달로 번갈아가며 문제를 출제하다보니 참여기간이 2달입니다~^^

      좋아요0
    •  
      이과생 Lv.6 2020.06.01 19:16

      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1
  •  
    이과생 Lv.6 2020.06.28 00:25 비밀댓글
    확인요청중
    비밀 댓글이 등록 되었습니다.
    댓글 작성하기 댓글수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