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가 간단히 보는 까마귀많으로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이 아닌 다른색이다'는 반증이 가능합니다. 애초에 전제가 틀린거죠. 그러니 까마귀의 색에 관한 명제는 딱 두개가 나올 수 있습니다. '모든 까마귀는 검다'와 이의 부정이죠.
'일부 까마귀는 하얗다'라는 명제는 결국 '어떤 까마귀는 검지 않다' 즉 원명제의 부정이 됩니다. 장미는 붉다라는 명제가 까마귀는 검다의 확률을 올려주었던 것은 대우를 뒷받침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럼 이 명제의 대우를 봅시다.
하얗지 않은 것은 어떤 까마귀가 아니다.
글쎄요.. 확실히 붉은 장미가 하얗지 않은것에 속하는 것은 분명합니다만, 지구상의 물질(일단 현존하는 것만 따집시다)이 유한하므로 일부 까마귀는 하얗다의 확률을 높여 주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이는 '어떤 까마귀는 검다'라는 명제도 마찬가지에요.
원래 문제는 '장미는 붉다'라는 사실이 '모든 까마귀는 검다'에 영향을 주는가 입니다. '모든 까마귀가 검은가?' 혹은 '어떤 까마귀는 검은색이나 붉은 색이 아닌 다른색인가?'가 아니에요.
이렇게 물으실지도 모릅니다. '모든 색일 확률이 오른다면, 결국 확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것 아닌가요?'
아닙니다. 우리에겐 한가지 색이 남아있어요.
바로 장미의 색, 붉은색입니다.
'어떤 까마귀는 붉은색이다'라는 명제를 살펴봅시다. 대우는 '붉은 색이 아닌 것은 어떤 까마귀가 아니다' 이죠? 장미는 붉은색이므로 명제에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결론적으로, '장미가 붉다'는 '어떤 까마귀는 붉다'의 확률을 낮추고, 다른 모든 까마귀의 색에 관한 명제를 상대적으로 뒷받침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