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verity: Notice
Messag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null
Filename: ver3/Article.php
Line Number: 124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Article.php
Line: 124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Severity: Notice
Messag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null
Filename: ver3/Article.php
Line Number: 125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Article.php
Line: 125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모두가 똑같이 생각한다면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여기는 어느 범죄 현장.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몇 명의 용의자를 확보했지만 누가 범인인지는 정확히 모르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10명의 목격자가 있었고 경찰은 목격자들을 불러 모아서 용의자 중 어떤 사람이 범인이었는지 묻습니다.
그렇지만 목격자들 또한 정확히 보지 못했기 때문에, 누가 범인인지 확실히 알고 있는 상황은 아니어서 범인을 가려낼 수 있을지 걱정이었습니다.
경찰은 10명의 목격자들에게 차례차례 어떤 사람이 범인인 것 같은지 질문을 합니다.
목격자 1이 말합니다.
"A가 범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목격자 2도 말합니다
"저도 A가 범인인 것 같습니다"
그러자 목격자 3 또한 A가 범인 같다고 말했고 그 이후로도 사람들이 A를 지목할 때마다 경찰은 점점 더 A라고 확신을 합니다.
그렇게 10명 모두가 만장일치로 A를 지목했고 경찰은 범인이 A인게 틀림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모두가 A를 지목할 때보다 몇 명을 빼고 A를 지목했을 때가 더 범인이 A일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대체 왜 그러는 것일까요? 모두가 A라고 생각한다면 A가 가장 범인일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과연 자신의 생각대로 말할까
한 가지 재미있는 심리 실험이 있습니다.
먼저 피험자에게 아무 효과도 없는 약을 줍니다.
그리고, 이를 먹었을 때 어떤 증상이 있었는지 묻습니다.
피험자의 주변에는 실험을 돕는 가짜 피험자들이 있고 이들은 약을 먹자 머리가 아팠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그러고 나서 진짜 피험자에게 묻습니다.
이 실험의 결과, 다수의 실험자는 본인이 약을 먹었을 때 아무 증상도 없는 것을 알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모두 '머리가 아팠다'라는 의견을 내었기에 본인의 결과가 이상하게 예외인 것으로 착각하고 본인도 머리가 아팠다는 잘못된 판단을 내리게 됩니다.
애쉬의 동조 실험
미국의 심리학자 솔로몬 애쉬(Solomon Asch)는 위와 같은 사람들의 동조 경향에 대한 실험을 했습니다.
왼쪽의 카드에는 선분이 하나 있고 오른쪽의 카드에는 길이가 다른 3개의 선분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중 1개는 왼쪽 카드의 선분의 길이와 같고, 피험자는 왼쪽 카드의 선분과 같은 길이의 오른쪽 카드의 선분을 맞추면 됩니다.
애쉬는 이러한 시행을 계속 진행합니다.
이렇게 실험을 진행한 결과 정답률은 99% 이상이었습니다.
즉 누가 봐도 정답을 맞힐 정도로 확실한 문제였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제 7~9명의 사람을 모아두고 실험을 진행해봅시다.
그들 중 단 한 사람만이 진짜 피험자이며, 나머지는 모두 실험 협력자입니다.
먼저 실험 협력자들에게 질문한 다음 마지막에 피험자에게 질문합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시행은 진짜 피험자의 신뢰를 얻기 위하여 정답을 말합니다.
그리고 세 번째 시행에서 실험 협력자들은 미리 약속한 대로 같은 오답을 말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피험자에게 질문합니다.
과연 결과가 어땠을까요?
다수에 굴복하는 순간
혼자서는 99% 이상의 정답률을 기록했던 문제지만, 놀랍게도 정답률은 약 63%에 불과했습니다.
그러자 애쉬는 실험 협력자의 수를 1명에서 15명까지 바꿔가면서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그 결과 실험 협력자가 1명일 때는 오답률이 4%였지만 2명일 때는 오답률이 14%, 3명일 때는 무려 32%까지 올라갑니다.
이 실험은 너무나 확실한, 자기 생각이 정확히 있는 상황에서조차 몇 명의 사람의 말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만장일치는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만장일치의 역설은 본인의 실제 의견과 무관하게 모든 사람의 의견이 같을 경우 본인도 그와 같은 선택을 하게 되어, 오히려 결과의 신뢰성은 떨어진다는 역설입니다.
모든 사람의 의견이 같을 경우, 자신의 의견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착각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다수의 사람이 틀린 선택을 하게 됩니다.
이 경향은 상황이 확실하지 않을수록 더 강해집니다.
처음 상황에서처럼 목격자들이 정확히 용의자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는 위 실험과 달리 자기 생각이 확고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동조 심리가 작용하기 쉬운 상황입니다.
즉 다수의 사람이 자기 생각대로가 아닌 다른 사람의 대답대로 답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오히려 용의자를 제대로 지목할 가능성을 떨어뜨립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목격자들을 분리해서 다른 목격자의 대답을 모르게 한 채로 질문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도 만장일치가 나온다면, 저 분리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단 1명의 지지자
애쉬의 동조 실험은 저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그는 실험 협력자 중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오답을 말하지만 1명은 정답을 말하도록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그러자 놀랍게도 오답률이 모두가 오답을 말할 때의 1/4로 줄어들었습니다.
단 1명의 지지자가 피험자가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준 것입니다.
절대다수가 이렇게 생각하는 것 같아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때 자신의 의견을 말해보는 것이 집단이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것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어쩌면, 당신처럼 생각하고 있던 다른 사람들도 당신을 지지자 삼아 말할지도 모르니까요.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variable: tag_news_list
Filename: inc/article_view.php
Line Number: 90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views/ver3/inc/article_view.php
Line: 90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Article.php
Line: 221
Function: view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Severity: Warning
Message: count(): Parameter must be an array or an object that implements Countable
Filename: inc/article_view.php
Line Number: 90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views/ver3/inc/article_view.php
Line: 90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Article.php
Line: 221
Function: view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좋아요
31
유익해요
2
웃겨요
1
신기해요
1
어려워요
0
좋아요 박습니다~~~
좋아요 +1
와
와 저도 저런 경험 많은데...
정말 유익한것 같네요!
하지만 좋아요 누른 건 안비밀
모두들 좋아요 누르세요
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
설마... 혹시... 나도... 내가 모르는 사이에...
좋아요 박습니다
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