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verity: Notice
Messag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null
Filename: ver3/Article.php
Line Number: 124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Article.php
Line: 124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Severity: Notice
Messag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null
Filename: ver3/Article.php
Line Number: 125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Article.php
Line: 125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안녕하세요? 오늘은 4차원 세계에 사는 초입방체를 인터뷰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4차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차원에 대해 생각해보면, 0차원은 점, 1차원은 직선, 2차원은 정사각형, 3차원은 정육면체가 항상 기본꼴이 되고, 이들에서 확장되어 더 다양한 도형들이 만들어집니다. 우리보다 낮은 차원인 0, 1, 2 차원들은 있는데, 4차원도 있지 않을까요? 여러분, 이제 제 말에 집중해주세요. 눈을 감고, 머릿속에 3차원 정육면체의 형태를 떠올려보세요. 어떤가요?
(출처 : 위키피디아)
이런 것, 떠올리지 않으셨나요? 자, 그럼 이번에는 4차원의 기본형 초입방체의 형태를 떠올려봅시다. 어떤 그림이 떠오르셨나요?
많은 분들은 정육면체는 잘 떠오르셨을 겁니다. 그런데, 4차원이요? 4차원은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요?
조금 더 설명드리고 싶지만, 초입방체가 충분히 알려줄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럼, 지금부터 초입방체와의 인터뷰를 시작합니다!
소피 :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초입방체(이하 초방) : 아,안녕하세요..? 전 초입방체입니다.
소피 : 초입방체는 4차원의 기본꼴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4차원은 어떻게 생겼나요?
초방 : 3차원 세계에 사는 여러분께는 이해하기 너무나도 어려울 거에요.
소피 : 그럼, 조금 맛만이라도 보고 싶어요. 어떻게 하면 이해하기 조금이나마 쉬울까요?
초방 : 그렇다면, 차원들의 규칙을 살펴볼게요! 0차원인 점은 모든 차원의 근본이 됩니다.
소피 : 1차원인 직선은 점을 한 방향으로 길게 잡아당긴, 혹은 여러 개를 배열한 형태로 볼 수 있겠죠?
초방 : 맞아요! 그렇다면, 2차원, 3차원도 아시나요?
소피 : 2차원인 면은 직선을, 점을 잡아당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을 다시 길게 잡아당긴 형태가 되죠. 그리고, 3차원인 입체는 면을 이번에는 두 직교하는 방향과 모두 직교하게, 즉 '위'로 잡아당겨 만들 수 있을거에요.
초방 : 잘 아시는걸요? 그럼, 제가 표로 정리해볼게요~
0차원 (점) | 기본형인 점. |
1차원 (직선) | 점을 한 방향으로 잡아당김. |
2차원 (면) | 직선을 위의 '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 |
3차원 (입체) | 면을 위 두 방향과 모두 직교하게 '위'로 잡아당김. |
소피 : 글씨로만 보니까 조금 헷갈려요. 사진 같은 자료는 없나요?
초방 : 보여드릴게요. 아래 그림이에요. 여기서는 3차원까지, 그리고 X, Y, Z 축만 보면 됩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소피 : 그림으로 보니 이해가 쉽네요. 정리해주신 표가 4차원과 어떤 관계가 있죠? 이건 저희가 이미 알고 있는 0, 1, 2, 3차원에 대한 얘기 뿐이잖아요.
초방 : 이제 얘기하려고 했어요~ 4차원을 알아보려면 더 낮은 차원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구요.
소피 : 4차원을 알아보는데 더 낮은 차원이 왜 필요한 것인가요?
초방 : 차원은 규칙성이 있어요. 아는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차원에 대해 예상해 볼 수 있죠.
소피 : 그렇다면, 1차이 나는 차원끼리의 관계를 알아봐야 겠는걸요?
초방 : 맞아요! (0, 1), (1, 2), (2, 3) 차원의 쌍들끼리 서로의 관계를 알면, 규칙성을 찾아 (3, 4) 차원의 쌍의 관계를 알아낼 수 있고, 따라서 4차원에 대해 예측해볼수 있답니다! 그럼, 지금부터 규칙을 알아볼게요. 1차원은 0차원을 한 방향으로 잡아당깁니다. 2차원은 1차원을 0차원을 잡아당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고요. 3차원은 2차원을 0, 1차원을 잡아당긴 방향과 모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깁니다. 그렇다면 1 차이나는 차원들 사이의 관계를 이번에도 표로 정리해볼게요.
0, 1차원 | 0차원을 한 방향(A)로 잡아당겨 1차원을 만듦. |
1, 2차원 | 1차원을 A와 직교하는 방향 B로 잡아당겨 2차원을 만듦. |
2, 3차원 | 2차원을 A, B와 모두 직교하는 방향 C로 잡아당겨 3차원을 만듦. |
여기서 A는 평면의 한 방향이 되고, B는 이 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의 방향이 됩니다. 또, C는 A, B가 존재하는 평면을 벗어나 '입체'라는 공간에 있습니다. 바로 우리가 '위', 혹은 '아래' 라고 표현하는 '높이' 에 존재하죠.
소피 : 그렇다면...? 4차원은 3차원 정육면체를 A, B, C와 모두 직교하는 새로운 방향 D로 잡아당겨야 하겠어요.
초방 : 정확해요!!! 그러나 3차원의 여러분들은 4차원에만 존재하는 방향 D를 알 수 없죠.
소피 :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4차원을 이해하기 힘든 거군요. 이 D로 잡아당긴 형태는 어떻게 되나요?
초방 : 3차원의 여러분은 시야로 평면을 봅니다. 세상이 담긴 평면 말이죠. 어찌됬건 여러분의 눈은 바라보는 곳을 평면으로밖에 볼 수 없습니다.
소피 : 아닌데요? 저흰 입체를 봐요! 저희가 평면을 보면 입체인 세상에서 어떻게 살겠어요?
초방 : 이런게 바로 차원의 신비이자 가장 이해하기 힘든 점입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당신은 2차원에 사는 정삼각형입니다. 당신은 눈으로 2차원을 볼 수 있겠어요?
소피 : 음... 제가 2차원을 볼 수 있다면 전 2차원 세계의 '위' 에서 관찰하고 있게 되므로 전 2차원에 사는 게 아닌거겠네요...
초방 : 그래요. 그래서 모순되죠. 그렇다면 2차원인 당신은 무엇을 보겠어요?
소피 : 음, 1차원의 직선을 눈으로 보지 않을까요?
초방 : 맞아요. 그럼 3차원인 당신은 무엇을 보겠어요?
소피 : 이, 이차원을 보겠죠...
초방 : 어려워할 것 없어요! 차원은 단지 아는 것에서 규칙을 찾아내 다음 차원을 유추해내는 것 뿐이거든요!
소피 : 이번에도 그림 하나만 보여주시면 안될까요? 점점 4차원으로 올라갈수록 헷갈려지네요..
초방 : 그래요. 이번 그림은 아래와 같아요.
(출처 : 위키피디아)
소피 : 아까 그림과 비슷하네요~! 1차원, 2차원, 3차원 사이의 관계를 자세히 알 수 있고, 4차원은 물론 5차원도 그려져 있군요!
초방 : 맞습니다. 4차원 그림을 자세히 보면, 정육면체(초록)을 평행하게(주황) 잡아당겨서 만든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소피 : 아... 보이기도, 안보이기도 하네요. 좀 더 자세히 보여주세요.
초방 : 아래는 편집한 사진이에요. 출처는 동일하구요.
소피 : 아하! 4차원에서는 저렇게 정육면체끼리 겹칠 수 있군요! 5차원도 저렇게 그려주세요.
초방 : ㅂㄷㅂㄷ...... 힘들다고요!!!
소피 : 앗...
초방 : 게다가 처음에 4차원 알아본다면서요?! 5차원은 왜 필요하신거죠?
소피 : 지,진정하세요...
초방 : 알겠어요... 자, 그래서, 각 차원으로 이동할 때마다 이전 차원을 쭈욱 잡아당긴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요.
소피 : 그렇군요.
초방 : 이처럼 정사각형이 3차원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남기는 흔적이 정육면체가 되는 것처럼 정육면체가 4차원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남기는 흔적을 4차원 도형으로 생각할 수 있고, 이 도형을 테서랙트(Tesseract)라고 하며 더 넓은 의미에서 초입방체(hypercube)라고 부릅니다.
소피 : 이제 초방님의 형태를 잘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초방 : 제 형태를 잘 알 수 있다...
소피 : 큼큼. 그럼, 이것으로 이번 인터뷰를 마치겠습니다. 초방님, 인터뷰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늘의 퀴즈~!
4차원 공간의 기본꼴이 되는 도형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1) 직선
(2) 정육면체
(3) 정육각뿔
(4) 초입방체
(5) 정사각형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variable: tag_news_list
Filename: inc/article_view.php
Line Number: 90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views/ver3/inc/article_view.php
Line: 90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Article.php
Line: 221
Function: view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Severity: Warning
Message: count(): Parameter must be an array or an object that implements Countable
Filename: inc/article_view.php
Line Number: 90
Backtrace: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views/ver3/inc/article_view.php
Line: 90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application/controllers/ver3/Article.php
Line: 221
Function: view
File: /volume1/web/PhpstormProjects/www_polymath_co_kr/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좋아요
3
유익해요
12
웃겨요
1
신기해요
3
어려워요
2
저는 이 기사를 쓰기 전에 다른 분들의 기사를 안읽어봐서 딱히 다른 분들의 기사를 보지는 못했어요.
이 기사는 제가 플랫랜드 영화와 책을 읽은 뒤 든 소감이나 느낌등을 담아 쓴 기사입니다.
그 영화를 많은 분들이 아실지 모르겠지만, 모르신다면 유튜브에 무료로 볼 수 있게 올라와 있으니 꼭 보셨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책도 있으니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책도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번 초입방체
정팔포체라고도 하죠...
아하, 그렇군요!
그러면 만약 저희가 4차원에 살고 있다면 3차원을 보게 되는 것이군요!
4번
정답!! 초입방체!!
처음부터 끝까지 그거에 대한건데 모르면 안되죠!
어우
T.M.I
4차원 초입방체의 종류는
정오포체, 정팔포제, 정십육포체, 정이십사포체, 정백이십포체, 정육백포체
정오포체
정십육포체
정팔포체
칼라비 야우 다양체
정이십사포체
정백이십포체
정육백포체
초구
????
출처:https://blog.daum.net/cby210/393 https://blog.daum.net/cby210/
다시 올립니다.
아니 이거 세상에서 제일쉬운 문젠가....
아 아니지 제일쉬운건 숫자파이님의1+1
초입방체!
4번 초입방체!
복잡하네요....